서울 중구(구청장 최창식)가 다산동 성곽길에 예술문화거리를 조성하기 위해 추진 중인 공영주차장 건립사업이 주민들의 반발로 진통을 겪고 있다.
중구는 장충체육관에서 다산 팔각정에 이르는 동호로 17길 일대가 성곽탐방로로 조성되었으나 오래된 주택들이 밀집돼 있고 주차장 등이 부족해 관광객을 유입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 2018년까지 성곽길 중간 지역에 지하 3층, 지상 4층의 공영주차장을 건립키로 했다. 하지만 공영주차장을 짓기 위해 30~40년 살고 있는 52가구의 토지를 강제수용하려는 게 문제가 됐다.
강제수용 대상 주민들은 2일 기자설명회를 열어 “오랫동안 이곳에서 살고 있는 우리들은 주차난이 심각하다고 여긴 적이 없는데 중구가 그런 이유를 대는 게 이해가 안 된다”며 “공영주차장을 짓는 이유가 주차난 해소보다는 성곽길 띄우기에 방점이 찍혀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중구가 성곽길을 용산구의 경리단길과 같은 ‘뜨는 거리’로 만들기 위해 원주민들을 내쫓으려고 한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주차난이 심각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지난달 26~29일 다산동 주민 419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고 밝혔다. 그 결과 강제수용 대상지에 거주하는 주민 37가구가 보유한 차량은 12대인데 정식 주차장이 아닌 길 옆 등에 주차하는 차량은 1대뿐이었다. 보유차량 대비 정상주차 차량 비율인 ‘실질 주차수급률’이 97.3%에 달했다. 주민들은 “다세대·다가구 주택이 밀집돼 있는 동네에서 이 정도 수치가 나오기 쉽지 않다”며 “그런데도 주차난을 이유로 주민들을 내쫓아 공영주차장을 짓는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중구는 지난해 다산동 성곽길 공영주차장 건립을 위해 서울시에 투자심사의뢰서를 제출하기 위해 2014년 12월 교통전문용역업체와 타당성조사 용역계약을 맺고 객관적인 수요조사를 실시한 결과 영향권역 300m이내 자동차등록대수는 1183대, 주차공급대수는 638대, 주차장 부족대수는 545대로 나타나 주차수급률이 53.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주민들은 “중구가 제시한 주차수급률은 현장과 괴리되어 있는 결과”라고 맞섰다. 주민들이 강제수용 부지 반경 100m 내에서 거주하는 99가구를 상대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99가구가 보유한 차량은 41대인데 정식 주차장이 아닌 곳에 주차하는 가구는 7대에 불과해 실질 주차수급률은 88.9%였다. 또 반경 200m 이내 177가구 설문에서는 실질주차수급률이 85.4%였고 반경 300m 이내 280가구 설문에서는 89.6%로 나타났다. 주민들은 또 설문에 응한 가구의 92.9%가 중구가 추진하는 공영주차장이 필요 없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중구는 “지난해 다산성곽길 불법주차 총 단속건수는 1104건으로 대상자 중 주차장을 건립해달라는 민원이 가장 많았다”며 “경제적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보상대상 주민들이 인근 주민 4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와 분석결과는 객관성이 없다”고 반박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중구 다산동 성곽길 공영주차장 추진 논란...토지 강제수용 주민들 반발
입력 2016-03-02 1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