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제주도와 전기자동차 혁신공장을 공동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민선 6기 이후 자동차 100만대 생산기지 조성에 나선 광주와 ‘2030년, 탄소 없는 섬’을 만들려는 제주가 정책적 시너지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광주시는 “시 사회통합지원센터가 지난달 제주도에 전기차 혁신공장 설립방안을 담은 제안서를 보냈다”고 2일 밝혔다. 연간 자동차 64만대 양산능력을 갖춘 광주와 2030년까지 30여만 대의 전체 등록차량을 친환경 전기차로 바꾸려는 제주가 전기차 생산을 통해 상생발전을 꾀하자는 것이다.
시는 산업기반이 취약한 광주와 제주가 노사협력 체계가 대폭 강화된 혁신공장을 공동 설립하면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발전의 획기적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시는 이를 위해 지난해 3월10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제주도, 한국전기차리더스협회와 전기차 보급·확대 및 산업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뒤 구체적 물밑 협상을 진행해왔다. 시는 세계적 추세인 친환경 전기차 생산을 통해 현재 64만대의 양산능력을 100만대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에 따라 제주와 합작법인 설립으로 전기차 전환 물량을 우선 확보하면 공장설립 과정에서 국내는 물론 해외 자본 유치에 유리한 고지를 점령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시는 합작법인이 우선 보급형 소형 전기차 최종조립 생산공장을 운영하도록 할 방침이다.
합작법인은 일반적 대기업과 달리 노동자들이 최대주주가 되고 협력업체, 지자체, 시민단체 등이 나머지 주식을 각각 보유하는 혁신공장 형태를 갖게 된다.
국내에서는 현재 기아차 광주공장(소울), 기아차 위탁 생산공장인 충남 서산의 동희오토(레이), 르노삼성 부산공장(SM3), 지엠 대우 창원공장(스파크) 등 4곳에서 전기차를 각각 생산하고 있다.
김상봉 광주시 사회통합지원센터장은 “광주·제주의 합작법인 설립은 국내 전기차 사업을 선도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며 “광주의 기술력과 제주의 소비물량이 결합하면 국내외 자본을 끌어들이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광주시, 제주도에 전기차 생산공장 공동설립 제안
입력 2016-03-02 1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