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국제영화제가 출범 20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영화제 조직위 집행부의 부도덕성이 도마 위에 오르면서 대대적인 체질개선이 불가피하게 됐기 때문이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2일 기자회견을 통해 “이용관 전 집행위원장이 영화제를 좌지우지 하기 위해 지난 달 정기총회 개최 직전 기습적으로 68명의 신규 자문위원들을 위촉했다”며 “신규 자문위원들은 총회 구성원으로서 자격을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서 시장은 “이 전 집행위원장이 지난 달 총회 개최 직전, 자신의 입으로 퇴진을 약속해놓고 이 같은 비상식적이고 부도덕한 일을 저질렀다”고 비난했다.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는 지난달 25일 정기총회 전 부산국제영화제 총회 구성원인 집행위원을 39명에서 107명으로 증원했다. 집행위원 중 자문위원을 68명으로 늘렸다.
이에 대해 서 시장은 “20년간 지켜온 영화인과 비영화인, 수도권과 부산 등의 균형을 무시하고, 정관개정에 필요한 재적회원 과반수를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 일부 영화인들을 대거 위촉했다”며 “그동안 헌신적으로 부산국제영화제를 성원한 부산시민들의 사랑을 하루아침에 저버렸다”고 강조했다.
서 시장은 지난달 25일 정기총회에서 임시총회 요구와 정관개정 등을 거절한 이유에 대해 “이번에 부당하게 위촉된 자문 위원들에 의한 임시총회 소집요구이기 때문에 정당성을 인정할 수 없다”며 “ 개정할 정관의 구체적인 내용은 시와 부산국제영화제가 충분히 협의 하에 정하겠다”고 말했다.
서 시장은 “부산국제영화제의 현실과 영화제 개선에 대해 시민적인 합의를 위해서 영화제의 주인인 부산시민과 양식 있는 영화인들로 라운드 테이블을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서 시장은 “부산국제영화제의 주역은 화려한 레드카펫 위에서 빛을 발하는 영화인들이지만, 부산국제영화제의 주인은 말없이 희생과 한결같은 열정으로 스무살 BIFFF를 키워낸 부산시민들”이라며 “일부 영화권력자들이 더 이상 그 소중한 가치를 훼손시키지 않도록 부산시민들의 힘으로 부산국제영화제를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서 시장은 “시가 영화제 이미지 훼손을 감수하면서까지 이 전 집행위원장을 검찰에 고발한 것은 영화제 사무국의 불합리한 운영행태를 개선하고 앞으로 100년을 내다보고 사유화된 권력을 정리하면서 체질을 개선해 나가고자 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서 시장은 “이 전 집행위원장은 ‘다이빙벨’ 상영문제와 연계시키며 이를 권력의 탄압이라며 문제의 본질을 흐리고, 부산시민과 양심적인 영화인들의 눈을 가로막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부산국제영화제 사무국은 입장 발표를 통해 “자문위원 위촉은 정관에 명시된 집행위원장의 권한”이라며 “서 시장이 스스로 조직위원장에서 물러나서 독립성을 보장하겠다고 한 선언에 부응해 부산국제영화제 집행부가 스스로 자율성 보완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왜곡하고 폄훼해서는 안될 일”이라고 반발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서병수 부산시장 “부산영화제 체질개선 불가피”
입력 2016-03-02 1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