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관악구와 성동구 2곳에 교통약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무장애 보행로’를 올해 10월까지 조성한다고 2일 밝혔다.
2010년 이후 교통약자가 연평균 1.4% 이상 증가하고 있는데다 ‘걷는 도시, 서울’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차별 없이 누구나 편안한 보행환경을 만드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보고 교통약자를 위한 보편적 디자인(유니버설기자인)을 시범 도입키로 했다고 시는 설명했다.
교통약자는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 동반자, 어린이 등 일상생활에서 이동에 불편을 느낄 수 있는 사람으로 2014년 12월 기준 서울 인구의 약 22%가 해당된다.
시가 무장애 보행로를 조성하는 곳은 초등학교와 장애인특수학교가 위치한 관악구 서울정문학교 일대다. 시는 보도 경사를 미끄럼 없게 하고 중간중간 끊긴 보도를 이어 평평한 보행로를 완전히 연결할 계획이다. 또 휠체어나 유모차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도를 낮춰 차도와 높이를 같게 하고 어린이들이 차도로 들어가기 못하도록 안전한 보행펜스를 설치한다.
노인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운영 중인 성동구 성동노인복지관 주변에도 무장애 보행로를 조성한다. 복지관 앞에 횡단보도를 설치하고 점자블록을 연결하며 차량 속도를 줄일 수 있는 회전교차로를 설치할 계획이다. 또 보도와 차도 색상을 달리해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도록 한다.
시는 교통약자, 주민 의견을 수렴해 5월까지 설계를 마무리하고 10월까지 조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시범 조성 후에는 사후 평가를 통해 추가 조성지를 선정하기로 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서울시, 무장애 보행로 10월까지 관악구, 성동구에 조성
입력 2016-03-02 1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