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근로자들 "차례차례 해고 수순…" 앞으로 어떡하나? 정부지원 촉구

입력 2016-03-02 14:26 수정 2016-03-02 16:24
개성공단 입주기업 근로자들이 해고 근로자에 대한 정부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입주기업 근로자들은 2일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개성공단 근로자협의회’를 열고, 8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실직 근로자의 생계 보조금 지급, 개성공단특별법 제정, 개성공단 재가동 등을 주장했다. 협의회에 참석한 의류업체 A사의 근로자 이모(55)씨는 “나를 비롯해 개성공단에 입주해있던 직원과 본사직원 등 15명은 지난달 16일에 이미 사표가 수리됐다”며 “정부에서 해고된 우리들을 위해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왔다”고 전했다. 이씨는 “정부가 발표한 지원대책에 고용보험이 포함돼있는데 그것은 근로자로서 당연히 받을 부분이고, 특별한 대책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의류업체인 B사의 개성공단 공장에서 6년째 일했다는 근로자 이모(45·여)씨도 지난 1일부로 해고됐다. 그를 비롯해 개성공단에서 일하던 B사 근로자 4명은 모두 해고 통지를 받았다. 해고 근로자는 고용노동부가 운영하는 실업급여제도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씨는 월 120만원 수준인 실업급여가 실질적으로 도움이 안 된다는 입장이다. 그는 “자녀 교육비부터 생계까지 앞으로 어떻게 해결할지 몰라 다른 근로자들과 이야기하러 왔다”고 말했다. 이어 이씨는 “우리 회사는 늦게나마 해고 통지를 받은 경우고, 많은 기업들이 이미 2월 중순에 근로자들을 해고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의류업체 C사 역시 지난 23일 6명을 해고했고, D사도 이번 주 중 해고 결정을 내릴 예정이다.

해고를 당한 근로자들은 대부분 회사의 공장이 개성공단에만 있는 영세기업이다. 일부 업체는 근로자들을 휴직상태로 두고 고용을 유지하고 싶었지만 휴직 급여마저 제공할 여력이 없어 해고수순을 밟았다.

이날 발대식에서 협의회 측은 “(개성공단에서) 열악한 환경 때문에 일하다가 쓰러지고 죽어나가는 동료들도 있었고, 회사가 2~3개월 어려워져 월급을 받지 못해도 또 새로운 아이템으로 사업이 시작되면 월급을 받을 수 있다는 설렘도 있었다”며 “정부는 지원이 아닌 보상을 해야 하며 충분한 보상이 아닌 합당한 보상을 원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고용노동부는 개성공단 기업 근로자 해고 문제에 대해 “실업급여, 고용보험, 휴직제도 등 기존 제도를 이용해야 할 것”이라며 “특별한 상황이 생길 때마다 별도의 지원을 해주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협의회는 현재까지 개성공단 입주기업·협력업체 근로자 2000여명 중 1600여명이 해고됐다고 밝혔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