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지만 한국의 노인 빈곤은 개선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60세 이상 노년층의 소득분위는 젊은 층에 비해 하락 추세를 보였고 순자산도 떨어졌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소득을 기준으로 한 노인 빈곤율이 수년 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통계청은 29일 ‘가계금융·복지조사로 본 가구의 동태적 변화 분석’을 통해 2011년과 2014년 현재 소득분위 이동과 소득 수준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1년 소득분위가 2014년에 유지된 비율은 55.1%였고 상승이나 하락을 경험한 비율은 44.8%였다. 통계청은 소득 규모 순으로 가구를 20%씩 5개로 구분했다. 1분위는 하위 20%, 5분위는 상위 20%다.
2011년 소득분위가 2014년에도 그대로 유지된 비율은 가구주 연령이 60세 이상인 경우 64.3%였고 40~59세 52.4%, 39세 이하 50.9%로 연령이 낮을수록 소득분위 이동이 활발히 진행됐다.
또 빈곤 상태를 2011년과 2014년 비교해 보면 ‘빈곤하지 않음’에서 ‘빈곤함’으로 이동한 비율은 8.4%에 불과했고 빈곤함에서 빈곤하지 않음으로 이동한 비율은 38.1%였다. 빈곤의 기준은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이 중앙값 50% 미만인 경우다. 물가 등은 반영되지 않았다.
기획재정부는 “정부의 복지제도 확충 등에 힘입어 소득분배 개선 추세가 지속되면서 계층간 상향이동이 진행됐다”고 의미를 설명했다.
그러나 노인 인구의 빈곤이 개선될 조짐은 보이지 않았다. 60세 이상이 1분위에서 탈출한 비율은 14.3%에 불과했지만 5분위에서 하락한 비율은 54.5%에 달했다. 또 연령별로 빈곤에서 탈출한 비율은 39세 이하가 59.5%, 40~59세가 51.7%였지만 60세 이상은 18.9%에 불과했다. 순자산도 39세 이하와 40~59세 가구는 상승한 비율이 하락한 비율보다 높았지만 60세 이상 가구는 하락한 비율 21.4%로 상승한 비율(12.4%)보다 높았다.
통계청은 “60세는 은퇴연령이기 때문에 소득이 자연 감소하는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며 “이에 따른 복지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60세 이상 노인층, 빈곤 탈출 18.9% 불과... 순자산도 줄어
입력 2016-02-29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