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기’ ‘인구론’이라고 들어보셨는지?
전화기는 취업에 강한 전기전자, 화학공학, 기계공학 전공을 뜻한다 인구론은 인문계 졸업생의 90%가 논다는 뜻을 담고 있다. 이같은 신조어가 등장할 정도로 취업시장에서 이공계 선호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실제로 기업 10곳 중6곳은 채용 시 이공계 출신자를 선호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이 기업 125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62.4%가 채용 시 이공계 출신을 선호한다고 응답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2년 전 조사(53.6%)보다 8.8%p 증가한 수치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71.4%)이 ‘중소기업’(63%)보다 이공계 지원자를 더 선호하고 있었다. 그 이유로는 ‘기술력이 꼭 필요한 직무라서’(66.7%,이하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기술개발이 중요한 업종이라서’(48.7%), ‘당장 이공계 인력이 부족해서’(25.6%), ‘전공 수업에서 배운 내용의 활용도가 높아서’(19.2%), ‘수리개념에 밝은 사람이 필요해서’(15.4%)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또 지원자의 학점이 동일할 때 53.9%가‘이공계를 인문계보다 더 높게 평가한다’고 응답했다.
올 상반기 신입 채용을 실시하는 기업(55개사)은 이공계를 선호하는 직무로 ‘제조/생산’(47.3%)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어 ‘연구개발’(45.5%), ‘IT/정보통신’(38.2%), ‘영업/영업관리’(18.2%), ‘구매/자재’(16.4%), ‘서비스’(14.5%)등의 순이었다.
이공계 전공자를 선호하는 기업이 늘면서 전체 기업의 절반 이상(56%)은 우수한 이공계 인재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추천 등으로 확보’(27.2%)가 제일 많았다. 다음으로 ‘이공계 전공자 별도 채용’(20.8%), ‘이공계 대상으로만 채용 진행’(17.6%), ‘산학협력 실시’(14.4%), ‘초봉에 차이를 둠’(11.2%)등의 노력을 하고 있었다.
김혜림 선임기자 mskim@kmib.co.kr
기업 62.4%, 채용 시 이공계 출신 선호
입력 2016-02-29 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