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면동 복지허브화 시동... 33곳 읍면동서 맞춤형 복지팀 뜬다

입력 2016-02-28 17:02 수정 2016-02-28 19:10
이르면 3월부터 전국 30개 지자체 33개 읍·면·동에 주민 개개인에게 맞춤형 복지를 서비스할 맞춤형 복지 전담팀이 신설된다.

보건복지부와 행정자치부는 서울 중랑구 면목 3·8동, 부산 사상구 모라3동, 충북 청주시 봉명1동, 전남 영암군 삼호읍 등 33곳을 ‘읍·면·동 복지허브화’ 선도 지역으로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읍면동 복지허브는 정부가 읍·면·동 주민센터의 복지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만든 개념이다. 주민센터에 맞춤형 복지팀을 별도로 만들어 복지 대상자를 적극 발굴함으로써 주민 개개인의 욕구에 따른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취지다.

맞춤형 복지팀은 기존 복지 업무를 담당하던 인력과 별도로 복지 업무에 경험이 많은 3명 이상의 인력으로 구성된다. 선도 지역에 대해서는 각 지자체별로 2000만원씩의 예산과 전문가의 컨설팅이 지원된다. 3월 중 맞춤형 복지 전담팀 운영 준비를 완료할 예정이다.

정부는 맞춤형 복지팀 인력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이 팀에 배치된 담당자는 3년 이상 장기 근무를 원칙으로 하고 경력 평정시 가산점을 주는 한편 추가 수당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읍·면·동장의 복지전문성 강화를 위해 전체 읍·면·동장 중 현 직급 혹은 직전 직급에서 복지업무를 3년 이상 전담 수행한 경험이 있는 자의 비율을 목표치로 정해 관리할 계획도 세웠다.

정부는 올해 700곳의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복지허브화’를 진행할 계획이다. 2018년까지 3496개 전체 읍·면·동에서 복지허브화를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