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대표는 25일 "햇볕정책은 그대로 살아있지만, 상황변화에 따라 지금 햇볕정책을 쓸 수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야권의 심장부인 광주를 방문한 자리에서 시대의 변화에 맞는 햇볕정책 수정·보완을 거듭 시사하며 일각의 정체성 논란에 대한 정면돌파에 나선 것이다.
그러나 국민의당에서는 "광주에서 또다시 햇볕정책에 손을 봐야 한다고 주장한 것은 광주시민들이 새누리당 지도부가 '광주 선언'을 채택한 것으로 착각할 것"(김재두 대변인)이라고 꼬집는 등 정체성 논란이 이어졌다.
김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햇볕정책이 지향하는 바는 소위 북한과 평화적 통일을 위해 계속 대화를 나누고 자꾸 더 (대화를) 끌어내서 저쪽을 변화시키겠다는 것 아니냐"며 "그게(햇볕정책이) 평화통일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런데 지금은 북한 상황이 변했기 때문에 그와 같은 것(햇볕정책)을 현재 추진할 수 없다는 것이지 다른 의미는 없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앞서 광주시의회에서 발표한 '광주선언'에서 "대한민국이 다가올 통일시대를 혼란 없이 준비하기 위해서는 통일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의사와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며 "'통일대박'과 같은 막연한 통일정책이 아니라, 확고한 평화통일의 지향 아래 구체적인 대북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북한이 핵을 갖지 않았던 시점의 '햇볕정책'은 유효한 대북정책이었지만 북한이 핵을 보유한 지금 대북정책은 진일보해야 한다"며 "통일은 내밀한 역사적 순간, 새벽처럼 다가올 수 있다"고 언급했다.
'햇볕정책 수정 가능성을 다시 밝힌 것이냐'는 질문에 그는 "우리가 지향하는 목표인 평화통일을 위해 북한의 변화를 통해 그 목표를 달성하려고 내세웠던 게 햇볕정책"이라며 "최근 북한의 사정은 과거의 우리가 햇볕정책을 추진했을 때와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는 만큼, 현재 적용할 수 있는 정책을 만드는 게 평화적 통일을 달성하는 하나의 전략적 수단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대북정책은 진일보해야 한다'는 표현이 추상적이라는 지적에는 "개성공단도 폐쇄되고 대화 자체가 중단돼 버렸는데 대화가 영원히 중단돼선 안되니 앞으로 가자는 얘기인데 그게 뭐가 잘못된 얘기인가"라고 반문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김종인 “햇볕정책 유효했었지만, 지금은 대북정책 진일보해야”…
입력 2016-02-25 1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