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러시아, 시리아 휴전 지원 안보리 결의 추진

입력 2016-02-24 23:26
시리아 수도 다마스커스 거리에 걸린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의 초상화. 인테르팍스 통신

러시아가 시리아 휴전 추진을 뒷받침하기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채택을 미국 측에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겐나디 가틸로프 러시아 외무차관은 23일(현지시간) 인테르팍스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안보리 결의가 최대한 신속히 채택되는 것이 모두의 이익”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유엔 본부 관계자도 타스 통신에 미-러 양국이 시리아 휴전과 관련해 각자 안보리 결의안 초안을 이미 마련했다고 전했다. 또 조만간 두 안을 합쳐 하나의 결의안으로 만든 뒤 며칠 내로 채택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결의안이 휴전 협정이 발효하는 27일 이전에 채택돼야 하기 때문에 양국이 결의안을 조율할 시간이 넉넉한 형편은 아니다. 또 다른 유엔 소식통은 결의안에 대한 논의가 아직 양국 간에만 이뤄지고 있을 뿐 다른 안보리 회원국들에 회람되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앞서 22일 전화통화를 통해 27일 자정(시리아 현지시간)부터 시리아 내 전투행위를 중단한다는 휴전 합의에 도달했다. 시리아 정부와 반군도 원칙적으로 미-러 간의 합의를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혀 5년간 수십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시리아 내전을 중단시킬 수 있는 중대한 계기가 마련됐다.

다만 반군과 복잡한 관계를 맺고 있는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와 알카에다 시리아 지부 격인 알누스라 전선 등 테러단체에는 휴전 합의를 적용하지 않는다는 조건 때문에 이번 합의가 제대로 이행될 수 있을지에 대한 회의론도 만만찮다.

휴전에서 배제되는 테러단체에 대한 명확한 의견일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실질적인 공습 중단과 휴전 합의를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24일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휴전 대상에서 시리아 쿠르드족 민병대인 ‘인민수비대’(YPG)도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벌써부터 이견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

푸틴 대통령과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은 이날 전화통화를 갖고 휴전 합의 이행 방안을 논의했다. 크렘린궁 공보실에 따르면 아사드 대통령은 휴전 합의에 관한 미-러 양국 성명에 포함된 제안들을 시리아 사태의 정치적 해결을 위한 중요한 행보라고 평가하면서 시리아 정부가 휴전 성립에 협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