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새 학기에 초등학교 6학년생이 배울 사회교과서 최종본에서 ‘위안부’라는 용어와 관련 사진이 삭제됐다. 유신헌법의 초헌법적 특징을 다룬 별도의 설명도 사라졌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14년 발행됐던 실험본 교과서와 최종본을 비교해 “‘위안부’라는 용어조차 쓰이지 않았고 ‘위안부’와 ‘성 노예’가 구체성이 떨어지는 표현으로 대체됐다”고 24일 밝혔다. 실험본에는 위안부 관련 사진에 ‘전쟁터의 일본군 위안부’라는 제목과 함께 “전쟁터에 강제로 끌려가 일본군의 성 노예가 되었다”는 설명이 달렸다. 반면 최종본에는 사진이 없어지고 “강제로 전쟁터에 끌려간 젊은 여성들은 일본군에게 많은 고통을 당하였다”는 서술만 남았다.
교육부와 여성가족부가 지난해 9월 초·중·고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일본군 위안부 바로 알기 교육’ 보조교재에는 위안부라는 용어와 함께 당사자들이 당한 피해가 서술돼 있다.
또 2011년 발행된 교과서와 비교해 이번 최종본 교과서엔 5·18 민주화운동 관련 계엄군 사진과 본문의 ‘계엄’이라는 단어가 빠졌다. 유신헌법의 초헌법적 특징을 따로 설명하는 문장이 삭제되기도 했다. 2014년 실험본 교과서의 “정부가 무상보육 제도를 마련했다”는 서술은 최종본에서 ‘육아비용 지원’으로 변경됐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새학기 초등학교 교실서 '위안부' 용어 빠진 국정교과서로 배운다
입력 2016-02-24 1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