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내시경 치료와 수술의 10년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내시경 치료가 수술 못지 않게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조기 위암 치료에 환자의 선택폭이 한층 더 넓어질 전망이다.
내시경 치료는 일반적으로 위암 크기가 2cm 이하이면서 림프절 전이나 궤양이 없고 분화도가 좋은 점막암인 경우 적용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위암 크기가 2cm를 넘거나 궤양이 있는 경우 등도 의료진 판단 아래 제한적이지만 치료 범위를 넓혀가고 있는 중이다.
삼성서울병원 위암센터 김성, 민병훈, 이혁 교수, 표정의 임상강사 공동연구팀은 2002년 1월~2012년 12월 조기 위암으로 내시경 치료를 받은 1290명과 수술을 받은 1273명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미국 소화기학회지에 최근 발표됐다.
연구팀은 두 그룹을 대표하는 환자 각 611명을 추려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10년 전체 생존율은 내시경 치료 그룹이 80.1%, 수술 그룹이 80.8%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자들이 다른 질환이나 사고 등으로 사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고 위암을 기준으로 10년 생존율을 다시 분석했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내시경 치료 그룹의 생존율은 98%, 수술 그룹은 96.9%로 위암으로 인한 사망률은 양쪽 모두에서 매우 낮았으며 차이가 없었다.
다만 위암 재발에 있어서는 기존 치료법인 수술이 내시경 치료보다 여전히 효과가 분명하다는 점이 재확인됐다. 10년을 기준으로 위암이 재발하지 않고 생존한 비율을 따졌을 때 내시경 치료 그룹은 60%에 불과했지만 수술 그룹은 80.6%였다. 위를 보존하는 내시경 치료와 달리 암 발생 부위를 광범위하게 잘라내는 수술 치료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다.
김성 교수는 “위암의 근본 치료는 여전히 수술이 밑바탕을 이루겠지만, 적합한 환자를 잘 선정하면 내시경 치료도 수술처럼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고 말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조기 위암 내시경 치료 '수술 못지 않은 효과' 확인
입력 2016-02-24 1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