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망막은 혈관들이 그물 모양으로 복잡하게 퍼져 있는 중요한 신경 조직이다. 이 망막에 퍼져있는 혈관 중 정맥이 막혀 출혈과 부종 등이 일어나는 질환을 ‘망막정맥폐쇄’라고 한다. 시력 손상이나 심하면 실명까지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전까지 안과 교과서 등에는 동맥경화나 고혈압, 당뇨병과 함께 임신시 발생하는 혈전(피덩어리) 등이 ‘망막정맥폐쇄’의 위험 요인으로 간주돼 왔다.
하지만 이런 망막정맥폐쇄가 단순 ‘임신’과는 연관성이 없으며 단지, 고위험 임신부에서 발생 위험이 매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안과 박상준, 우세준 교수팀은 2007~2011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등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망막정맥폐쇄 진단을 받은 환자 중 여성을 선별, 임신 및 출산 경험 호나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임신부는 같은 연령의 일반 여성보다 망막정맥폐쇄 발생률이 0.29배로 오히려 낮게 나왔다. 반면 흔히 임신 중독증으로 알려져 있는 고혈압성 질환(전자간증 및 자간증)을 경험한 고위험 임산부로 한정할 경우에는 일반 여성 대비 망막정맥폐쇄 발생률이 67.5배로 훨씬 더 높았다.
일반적으로 임신을 준비하는 여성의 경우, 산전 검사를 시행하는 등 평소보다 건강에 더 신경을 쓰기 때문에 위험인자들에 대한 통제가 이뤄져 망막정맥폐쇄 발생률이 일반 여성보다 훨씬 낮은 것으로 추정됐다.
박상준 교수는 “반면 고위험 임산부의 경우 혈압이 오르는 등 여러 복합적인 상태가 나타나 임신부의 미세동맥이 좁아지고 망막 출혈이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망막정맥폐쇄 발생률이 높아질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망막정맥폐쇄 발생률이 높은 고위험 임신부는 정밀 안과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에 발표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실명 유발 '망막정맥폐쇄'…임신중독증 임신부 '68배 위험'
입력 2016-02-23 1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