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러시아가 오는 27일(현지시간)부터 시리아 휴전에 돌입하기로 합의했다. 다만 정부군과 반군들이 이를 수용할지, 또 얼마나 성실하게 휴전에 임할지 등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국제사회는 대체적으로 휴전의 분위기는 마련했으되, 이행은 미지수라는 평가가 많다. 특히 그동안 반군들이 요구해온 알아사드 퇴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언제든 다시 포성이 들릴 수 있는 여지가 남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미국과 러시아 정부는 22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전화 통화 직후에 시리아에서 적대 행위를 중지하는 데 합의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합의는 휴전 조건을 받아들이고 이를 지키겠다는 뜻을 밝힌 시리아 내전 당사자들에 적용되며 이슬람국가(IS)와 알카에다의 시리아 지부 격인 알누스라전선, 그리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테러조직으로 지정한 단체는 제외된다.
하지만 정부군과 시리아 무장 반군들이 오는 26일 정오까지 휴전 참여 여부를 확인해야 이번 휴전이 유효해진다. 휴전이 발효되면 최근 알레포 일대에서 반군을 공격해온 러시아와 시리아 정부군은 반군에 대한 공세를 멈춰야 한다.
미국과 러시아의 발표 직후 시리아 반정부군 대표단인 고위협상위원회(HNC)는 성명을 내고 “휴전 타결에 이른 국제사회의 노력에 긍정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며 이번 합의를 조건부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HNC의 휴전 수용 조건은 (정부군의) 포위 해제, 민간인에 대한 폭격 중단, 인도주의적 구호물자 배송, 죄수 석방 등 4가지다.
시리아 정부는 아직 휴전 합의에 대한 수용 여부를 언급하지 않고 있지만, 4월 13일 총선을 치르겠다는 선거일정을 이날 발표해 국정 정상화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미·러, 27일부터 시리아 휴전 합의했지만 글쎄...
입력 2016-02-23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