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에는 지하철과 버스를 비롯해 서울 전역의 공공장소에서 무료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기능을 내장해 원격 조정하는 ‘사물인터넷’ 실증지역이 2020년까지 100곳으로 확대돼 서울 전역이 하나의 거대한 ‘리빙랩’(일상생활 실험실)으로 바뀐다.
서울시는 23일 디지털 정책 5개년 로드맵을 담은 ‘서울 디지털기본계획 2020’을 발표했다. 시는 기본계획의 비전을 ‘새로운 연결, 다른 경험 Global Digital Seoul 2020’으로 설정하고, 2020년 세계 디지털 수도로 발돋움하기 위한 4대 전략과 54개 실행과제를 제시했다. 시는 향후 5년간 디지털기본계획 관련 사업에 4605억원을 투입한다.
우선 디지털이 먹고 사는 문제에 기여하는 ‘디지노믹스’를 실현해 서울의 신성장동력을 확보한다. 오는 5월 출범하는 서울디지털재단이 디지노믹스 활성화를 위한 통합 플랫폼 역할을 하게 된다.
시는 핀테크(금융과 IT 기술의 융합) 관련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해 2020년까지 30개 기업을 발굴·육성한다. 또 9월에 문을 여는 ICT(정보통신기술) 중심 디지털 융복합 산업 전진기지인 개포디지털혁신파크를 통해 2020년까지 33만여명의 창의적 인력 양성을 지원한다.
구로 G밸리는 사물인터넷 전문 아카데미 운영 및 컨퍼런스 개최 등을 통해 2020년까지 1240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과제발굴 연구회, 비즈매칭 상담회를 통해 243개 유망기술을 발굴할 계획이다.
아울러 디지털 혁신으로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시민 삶을 개선한다. ‘사물인터넷’ 실증지역 시범사업이 진행 중인 1호 사업지 북촌을 시작으로 2020년까지 주거특화지역(25개, 구당 1개), 문화관광특화지역(50개, 구당 2개), 안전특화지역(23개, 소방서 단위), 광역교통(시 전역) 등 100곳으로 확대된다.
시는 또 주차장 위치, 실시간 주차정보를 스마트폰 앱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통합주차정보시스템’을 통해 2020년까지 550개 주차장(공영 100%, 민영 20%)에 실시간 정보를 제공해 주차문제 해소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공공기관과 민간시설 등에서 제각각 관리하고 있는 생활복지정보를 한 곳에서 통합·관리하는 ‘통합생활복지정보시스템’을 2017년까지 구축해 서울형 복지정책의 디지털 기반을 마련한다. 이를 통해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개편이 완료되는 2018년부터는 서울의 424개 모든 동주민센터에서 원스톱 복지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계 최고의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위해 2017년에는 달리는 지하철과 버스를 비롯해 서울 전역의 공공장소를 무료 와이파이 존으로 조성한다. 또 연내 상암동에 클라우드 센터를 구축하고 2020년까지 서울시 데이터센터를 100% 클라우드화한다.
시는 기본계획에 실행력을 담보하기 위해 행정1부시장이 위원장이던 정보화전략위원회를 시장 직속으로 격상해 시장이 위원장을 맡고, 분기별로 디지털정책조정회의를 직접 주재할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올해는 서울이 명실상부한 글로벌 디지털 수도로 가는 원년이 될 것”이라며 “서울시가 2020년 세계를 선도하는 디지털 수도가 될 수 있도록 시민이 디지털 정책 수립을 주도하고 신성장 디지털 산업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경제활성화를 견인하는 한편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서울시, 2020년 글로벌 디지털 수도 4대 전략발표, 2017년 서울 전역 공공장소 무료 와이파이
입력 2016-02-23 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