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23∼25일 미국을 공식 방문한다. 예정에 없던 일정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안에 대한 미·중 간 막판 조율이 예상된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2일 정례브리핑에서 왕 부장이 사흘간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의 초청으로 방미한다고 발표하면서 “양측이 중·미 관계와 공동으로 관심 있는 국제 및 지역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화 대변인은 “한반도 문제에 대해 중·미 양국은 밀접한 소통과 협조를 유지해 왔다”며 “미국과 이 문제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교환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중국은 “제재가 목적이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미국과 대북 제재 수위를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화 대변인은 “우리는 북한의 핵실험과 위성 발사 이후 유엔 안보리가 새롭고 힘있는 대북 결의안을 통과시키는 것을 지지하는 동시에 각 당사국이 한반도의 긴장을 격화시키는 행동을 피할 것을 촉구해 왔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각국이 한반도 문제의 대화 복귀를 위해 노력하고 중국이 제안한 비핵화와 정전체제의 평화체제 전환 논의를 병행해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국은 왕 부장의 방미를 통해 현안으로 떠오른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문제와 남중국해 문제 등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화 대변인은 “사드 배치는 중국의 전략적 안전이익을 직접적으로 훼손하는 것으로 한반도 문제를 핑계로 중국의 정당한 안전이익을 훼손하는 데 대해 결연히 반대한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남중국해 문제에 대해서는 “미국은 남중국해 문제에 대한 조작과 긴장분위기 과장을 중단하고 지역평화에 건설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왕이, 예정에 없던 방미, 미국과 대북 제재안 막판 조율 관심
입력 2016-02-22 1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