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용소모재(MRO)사업 둘러싼 대·중소기업 갈등 심화…中企, LG서브원 규탄

입력 2016-02-22 14:00
MRO관련 중소기업 단체들이 22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관에서 LG서브원의 상생협약 체결 거부 행위를 규탄했다. 중기중앙회 제공

사무용품, 공구, 전산용품 등 기업용소모재(MRO)를 판매하는 중소기업들이 대기업인 LG서브원을 규탄하고 나섰다.

한국산업용재협회, 소상공인연합회, 한국골판지포장공업협동조합, 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 한국베어링판매협회 등 관련 중소기업 단체들은 22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관에서 ‘대기업 MRO사의 시장침탈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동반성장위원회의 상생협약 체결에 동참하지 않는 LG서브원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국내 MRO 시장은 업계 추산 10~30조원 규모의 시장으로, 지난 10년 사이 대기업 계열사가 진출해 시장의 70~80%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2011년 MRO 업종 대·중소기업은 동반위의 중재로 가이드라인을 지정하고 대기업의 무분별한 영업장 확대를 자제해왔다. 가이드라인 적용기간이 지난 2014년 만료되자 지난해부터 동반위는 가이드라인 대신 상생협약 체결을 중재했다. 일부 대기업은 지난달 상생협약 체결에 동참했으나, 업계 점유율 1위인 LG서브원이 참여하지 않으면서 반쪽짜리 협약이 됐다.

하지만 LG서브원은 연 30%씩 증가했던 국내 대기업의 매출액이 가이드라인 적용 이후 5~10%씩 감소하고, 그 자리를 웨스코, 패스널 등 외국계 기업들이 차지했다고 반박했다. LG서브원은 “한국경제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가이드라인 지정 이후 중소 MRO 업체들도 매출액이 오르지 않고 연 3%~3.5%씩 감소했다”며 제도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베어링판매협회 관계자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가이드라인 지정 이후에도 중소업체의 매출액이 증가하지 않은 건 사실이지만 도산위기를 면했다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며 “LG서브원은 현재 상황을 가이드라인 지정 이전으로 되돌리는 행위를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외국계 기업들이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는 것도 사실과 다르다”며 “외국계 기업은 카테고리 킬러(한 품목의 제품만 판매하는 전략)이기 때문에 문구, 베어링 등 각 분야에서 점유율이 1% 남짓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중소기업들은 LG서브원이 계속해서 협약 체결에 응하지 않을 경우 LG불매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