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을 일찍 발견해 수술을 받으면 심혈관질환을 유발하는 복부 지방과 고지혈증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양대 의대 외과 하태경, 심장내과 신진호 교수팀은 위암으로 복강경 수술을을 받은 73명을 1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고도비만 수술 분야 학술지 ‘비만 수술(Obesity Surgery)' 최신호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위암 환자 73명의 위절제술 이후 1년간 체질량지수, 복부지방, 지질단백질 등을 위수술 방법과 비만도에 따라 분류해 분석했다.
위 우회술(위를 절제한후 남은 위에 소장을 연결하는 수술)을 시행한 환자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서 체지방 감소율이 높고 체중 감소율과 중성지방의 감소율이 의미 있게 높았다. 이는 위 수술 방법에 따른 지방의 감소율이 차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비만도에 따른 차이는 비만한 환자와 정상 체중 환자에서 모두 체중 감소가 나타났다. 특히 정상체중 환자군은 체중 감소가 적었지만 비만 환자는 상대적으로 체중 감소가 많이 발생해 비만도가 높을수록 체중이 많이 감소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대부분의 위암 환자들을 복강경으로 수술함으로써 수술에 따른 통증과 합병증을 최소화했음으로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위암 수술 이후 식생활의 장애 때문에 영양 결핍 등에 대한 불안감이 높은 상황에서 오히려 한국인의 사망원인 중 암 이외의 가장 높은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낮춘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태경 교수는 "최근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 위험이 높아지면서 개개인의 환자에게 가장 이상적인 수술 방법을 선택해 수술한다면 위암뿐만 아니라 비만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위암 일찍 발견해 수술받으면 '심혈관질환' 위험 줄여
입력 2016-02-22 1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