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2일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북한 비핵화가 우선이고 평화협정 체결도 한국이 주체가 돼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정준희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이 4차 핵실험을 감행하기 며칠 전 미국과 북한이 한반도 평화협정 체결을 위한 논의에 은밀히 합의했다는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의 21일(현지시간) 보도와 관련해 "정부는 이미 밝힌 대로 비핵화 논의가 우선"이라고 말했다.
정 대변인은 "평화협정도 미북 간의 문제가 아니다"며 "우리 한국이 주도적으로 주체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과 북한은 작년 말 북한이 제안한 평화협정 논의와 관련해 비공식으로 메시지를 교환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 외교소식통은 21일(현지시간) 연합뉴스에 "작년 말 북한이 평화협정 논의를 공식 제안한 이후 미국과 북한이 비공식 외교채널을 이용해 양측의 의사를 교환한 사실이 있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그러나 "미국은 북한의 제안에 대해 비핵화 협상이 우선이고 평화협정 논의는 그 이후에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며 "하지만, 북한이 이를 거부했고 논의는 결국 없었던 일이 됐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 대변인은 중국의 은행들이 북한 계좌를 동결하기 시작했다는 일부 국내 언론의 보도에 대해서는 "관련 사실을 확인 중"이라며 "다만, 북한의 대외 거래는 직접 현금 배송을 하거나 차명계좌를 이용한다는 얘기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정 대변인은 북한 인민군 총참모장이 리영길에서 리명수로 교체된 것과 관련해서는 "김정은 정권 이후 다섯 번째 총참모장"이라며 "북한 군부 내 인물 변화가 많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별히 한두 명의 인물이 변화했다고 해서 북한군 전체의 전략이 바뀐다고 보기는 쉽지 않다"고 밝혔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정부 "한국,평화협정 체결 주체돼야 한다” 北비핵화 논의 우선
입력 2016-02-22 1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