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가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맞서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사드(THAAD) 관련 공동 실무단을 이번 주에 구성하고 본격적으로 논의에 들어갈 전망이다.
두 나라 군 당국은 실무단 구성을 위한 약정 체결이 마무리 단계라며, 약정만 되면 바로 협의에 들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무단은 국장급 협의체로, 우리 국방부 정책기획관과 한미연합사령부 기획참모부장이 각각 양측 대표를 맡게 된다. 여기에선 사드 배치 시기와 장소, 운영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군 당국은 실무단이 꾸려지기도 전에 사드 레이더의 전자파 유해성 문제를 놓고 논란이 제기되자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다.
이와 함께 사드 레이더의 작전 반경에 문제를 삼고 있는 중국의 반발도 관건이다.
정부는 주변국 입장이 아닌 자주권과 군사적 효용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중국은 대북제재에는 일부 찬성하면서도 사드 만큼은 분명한 반대 입장을 보여왔다.
또, 사드 배치 장소 주민들의 반대 의견이 거셀 경우 이를 풀어가기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한미, 사드 공동실무단 이번주 가동...배치 지역과 비용 등 논의
입력 2016-02-21 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