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사드, 중국 안보이익에 영향없다” 반박

입력 2016-02-18 16:05

외교부는 18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의 북한 비핵화와 평화협정 병행 추진 제안과 관련해 "지금 시점에서 북한이 도발을 중단하고 진정한 비핵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고 밝혔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평화체제 구축문제는 9·19 공동성명에 따라 비핵화가 진전됨에 따라 관련 당사국이 별도 포럼에서 협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앞서 왕이 부장은 17일 베이징(北京)에서 줄리 비숍 호주 외무장관과 양자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중국은 반도(한반도) 비핵화를 실현하는 것과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는 것을 (동시에) 병행해 추진하는 협상방식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조 대변인은 중국의 사드배치 철회 요구에 대해서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에 대비하기 위한 방어적 차원의 조치로서 검토되고 있는 것"이라면서 "중국의 안보이익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는 점도 우리가 중국 측에 계속 설득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에 대응한 유엔 안보리 결의안 논의 상황에 대해 "금명간은 (결의안 채택이) 너무 이른 얘기"라면서 "(미중간 협의 가속화의) 구체적인 움직임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채택 시점에 대해서는 현단계에서 예단할 수 없다"고 말했다.

임성남 외교부 1차관이 참석한 가운데 이날 국회에서 열린 '긴급 안보상황 점검 당정 협의회'에서 외교부는 "2월 말 결의안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 대변인은 29일 개막되는 제31차 유엔 인권이사회 전체회의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현재 검토가 진행 중이며, 누가 참석할지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윤병세 외교부 장관의 참석을 인권이사회 측에 일단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실제 윤 장관이 참석할지 조태열 외교부 2차관이 참석할지에 대해서는 검토가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