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美 대통령, 대북제재법안 곧 서명"…서명 즉시 발효

입력 2016-02-18 06:23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10월16일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국민일보 자료사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최근 의회를 통과한 대북제재법안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백악관이 17일(현지시간) 밝혔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정확히 언제 서명할지는 모르겠지만, 우리의 계획은 그 법안에 서명하는 것”이라며 “오바마 대통령이 법안에 서명할 것이라는 점은 확인해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대북제재법안은 오바마 대통령이 서명하는 즉시 공식 발효된다.

미 의회는 앞서 지난 12일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을 막고자 자금줄을 전방위로 차단하는 내용의 대북제재법안을 마련해 행정부로 이송했다. 이 법안은 상원에서 지난 10일, 하원에서 12일 각각 사실상 만장일치로 통과됐다.

에드 로이스(공화·캘리포니아) 하원 외교위원장이 대표 발의한 이 대북제재법안(H.R.757)은 역대 발의된 대북제재 법안 가운데 가장 강력하고 포괄적인 조치를 담고 있다. 북한의 금융·경제에 대한 전방위적 제재를 강화해 북한이 핵과 미사일 개발, 사이버 공격능력 향상, 북한 지도층 사치품 구입 등에 쓸 수 있는 달러 등 경화를 획득하기 어렵게 자금줄을 전방위로 차단하고 관련자들에 대해 의무적으로 제재를 부과하는 것이 골자다.

특히 제재의 범위를 북한은 물론 북한과 직접 불법거래를 하거나 북한의 거래를 용이하게 하는 자 또는 도움을 준 제3국의 개인과 단체 등으로 확대할 수도 있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북한과 거래가 가장 많은 중국이 지금처럼 계속 대북제재에 미온적일 경우 미국 정부가 중국과의 외교적 마찰을 무릅쓰고 이 조항을 발동할 것인지 여부가 주목된다.

어니스트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오바마 정부의 ‘전략적 인내’(strategic patience) 정책이 실패했다는 공화당의 비판에 대해 “우리의 전략은 역내 동맹, 특히 한국과 일본은 물론 북한에 영향력이 큰 중국, 러시아와도 효과적으로 협력해 나가는 것”이라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지난해 가을 백악관에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핵무장한 한반도를 용인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 정권이 미국과 한국뿐 아니라 자신들이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중국과 같은 나라마저 요구하는 (비핵화의) 방향으로 다가서지 않는 한 그들만 더 계속 고립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