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공관위 해산할수 있다” 대 이한구 “김무성, 공천 빠져라”

입력 2016-02-17 18:03

경계 수위를 넘나들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이한구 공직후보자추천관리위(공관위) 위원장간 공천 룰 신경전이 결국 폭발했다.

뇌관은 우선추천지 선정이었다. 전국 광역시·도별로 최대 3곳까지 우선추천지역으로 지정하겠다고 한 이 위원장의 발표를 김 대표는 상향식 공천을 훼손하는 전략공천 의도로 읽었다.

김 대표가 "이 위원장 개인의 생각일 뿐 당헌·당규에 어긋난다"고 무시하자, 이 위원장은 "당 대표는 공천에 관여하지 말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는 개인간의 갈등 차원을 넘어 비박(비 박근혜)계와 친박계간의 계파 대결 성격이 짙다.

친박계는 이 위원장을 일제히 옹호하고 나섰다. 공관위와 최고위에서 수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에 밀어붙일 수 있다는 계산도 서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항한 비박계는 17일 의원총회 소집 요구를 위한 서명 작업을 마쳤다. 비박계와 현행 공천룰의 유지를 바라는 의원까지 합세하면 친박보다 많다는 게 이들의 판단이다. 여차하면 의총을 통해 뒤집겠다는 것이다.

이 위원장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공천 룰 논의를 위해 김 대표와 회동할 것이냐"는 질문에 "분명한 것은 당 대표는 아무 권한이 없고, 공관위는 최고위와 관계를 맺어야 한다"면서 "그러지 않으면 공천 관리가 안된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과거에도 당 대표도 공천을 안 준적도 있다. 공천에 관여하지 말라"고 지적했다.

당 대표이긴 하지만 최고위 멤버들중 '한명'인 김 대표가 감놔라 배놔라할 자격도 없을 뿐더러 이 위원장의 기준으로 볼때 월권을 한다면 당 대표도 공천을 주지 않겠다는 경고성 발언이다.

이미 제18, 19대 총선에서 석연치 않은 이유로 공천을 받지 못한 김 대표로서는 가장 민감하게 받아들일 부분이지만 이 위원장은 칼을 겨누는 듯한 발언을 서슴지 않았다.

이 위원장은 "당헌·당규를 알면 내가 더 알텐데 뭐가 공천 룰에서 벗어났다는 것인지 모르겠다"고도 했다. 이 위원장은 현행 당헌·당규의 틀을 구축한 특위 위원장이었다.

또 "어떤 곳은 우선추천지가 4개가 될 수도 있다"고 애초 발표보다 오히려 늘려 잡았다.

앞서 김 대표는 김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국민에게 수 백번 약속한 국민공천제는 절대 흔들릴 수 없는 최고의 가치"라면서 "그 누구도 국민과 약속한 이 국민공천제를 흔들 수 없다"고 못 박았다.

비공개 회의에서는 "선거에 지는 한이 있어도 (이한구안은) 받아들일 수 없다. 이렇게 한다면 공관위를 해산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고 복수의 참석자가 전했다.

심지어 회의 중 책상을 내리치며 격앙된 감정을 여과 없이 드러냈다는 얘기도 있다.

비박계인 권성동 전략기획본부장은 연석회의 직후 이 위원장 옹호 발언을 했던 친박계의 정갑윤 의원을 따라가며 "본인 지역부터 (인재영입을) 한다고 해야지 다른 지역을 하라고 하면 어떡하느냐"면서 "국회부의장 선거할 때 뽑아 드렸는데 정말 이해할 수 없다"고 따지기까지 했다.

반면, 신박(新朴)계로 분류되는 원유철 원내대표는 CBS라디오에서 "이 위원장이 우선, 단수추천지역을 활용하겠다는 것은 당헌·당규에 위배되지 않는다"면서 "새로운 공천 룰을 만들었기 때문에 그대로 운영하면 된다"고 말했다.

대통령 정무특보를 지낸 김재원 의원도 MBC라디오에서 "이 위원장의 얘기는 모두 당헌·당규에 명시돼 있는 것"이라면서 "공관위는 독자적으로 결정하고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비박계가 이렇게 반발하는 이유는 우선추천제도가 정치적 소수자를 배려하는 게 명시적 목적이지만 경쟁력이 떨어지는 현역 의원을 탈락시키는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영남·서울 강남권과 같은 강세지역에서 더욱 위력적이다.

영남권의 한 친박계 중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새로운 인물의 충원 통로 없이 상향식 공천만 하면 부작용이 생긴다"면서 "강세 지역에서는 원하는 인물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