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용표 통일부 장관 탈탈 터는 이해찬 의원 (영상)

입력 2016-02-16 19:19 수정 2016-02-16 19:47

말 바꾸기 논란에 휩싸인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호되게 당했습니다. 홍 장관은 15일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외통위) 통일부 현안보고에서 이 의원의 질문에 “모르겠다”는 말을 반복하며 고개를 숙였습니다.

이 의원이 물은 건 개성공단 근로자의 임금으로 물건을 수입하는 상점의 수입규모였습니다. 이 의원은 홍 장관의 침묵에 감정이 격해진 듯 몸을 떨며 질타했습니다.

“그것도 모르면서 어떻게 (개성공단 임금이 핵, 미사일 개발에) 쓰였다고 얘기를 해요? 장관이 그것도 모르면서… 통일부 직원 중에는 아는 사람이 누가 있어요?”

“그동안 보고서에 이런 징후가 있다는 보고서 한번이라도 낸 적이 있어요? 보고서 한 장 안 내고, 얼마가 쓰이고 있는지 알지도 못하고, 이 마트의 수입금액이 얼마인지 알지도 못하고, 그런 정보는 통일부가 갖고 있을 수 없으면 국가정보원으로부터라도 받아야 할 거 아니에요. 정보원으로부터 그런 자료를 받아 본 적 있어요?”

이 의원은 또 개성공단에 들어간 5억4000만 달러 중에 참여정부 시절 들어간 돈은 2000만 달러밖에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장관이 앞뒤를 보고 얘기를 해야지, 앞뒤를 보고.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를 핵 개발 자금을 제공한 정부로 규정하는 거예요, 그렇게 되면.”



개성공단 근로자들은 임금의 대부분을 현금이 아닌 ‘물표’로 받습니다. 2006년 통일부가 밝힌 개성공단 근로자의 임금 지급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은 근로자 임금과 세금형태로 내는 사회보험료를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총국)에 지불.

▲총국은 이를 민족경제협력연합회(민경련)에 전달.

▲민경련은 근로자 임금으로 들어온 돈 중 세금 성격인 ‘사회문화시책비’를 제외한 금액의 95% 정도를 북측 무역 은행인 고려합영회사로 입금. 나머지 5%는 북한 원화로 환전돼 근로자에게 지급.

▲고려합영회사를 운영하는 호주 국적의 한국계 무역상 송씨는 민경련에서 입금된 돈으로 물품을 수입해 개성공단 근로자에게 판매.

▲근로자들은 개성백화점 등 개성 시내 일부 상점에서 신분증을 제시하고 구매가능 액수 내에서 원하는 물품을 구입.

한편 개성공단 임금 등 현금이 북한의 핵, 미사일 개발에 전용됐다는 의혹을 제기한 홍 장관은 15일 “돈이 들어간 증거자료가 있는 것처럼 와전됐다”고 말을 바꿨습니다.

홍 장관은 14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개성공단의 경우 근로자들 임금, 기타 비용 등이 달러 현금으로 지급되는데 근로자들한테 바로 가지 않고 북한 당국에 들어간다. 그러한 돈의 70%가 (노동당) 서기실 등으로 전해져 쓰이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