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용표 오락가락 발언 “개성공단 자금 70% 北당국 유입 파악…확증 없다”

입력 2016-02-15 17:18

국회 외교통일위의 15일 개성공단 전면 중단 관련 긴급현안보고에서는 홍용표 통일부 장관의 개성공단 자금의 북한 핵개발 유입설 발언 번복을 놓고 공방이 벌어졌다.

홍 장관은 14일 'KBS 일요진단'에서 "개성공단으로 유입된 돈의 70%가 당 서기실에 상납되고, 서기실이나 39호실로 들어간 돈은 핵이나 미사일에 쓰이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지만 이날 보고에서는 "확증은 없다"고 한 데 따른 논란이다.

더불어민주당 정세균 의원은 "홍 장관의 발언이 사실이라면 한국 정부가 안보리 결의안을 위반한 것이라는 점을 자백한 것"이라면서 "이에 대한 조치나 대책이 있어야 하고, 사실이 아니라면 장관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지난 12일 기자들과 질의 응답에서 (자금의 핵개발 유입 사실이) 정보 사항이라서 얘기할 수 없다고 말한 것은 증거가 있지만 내놓을 수 없다는 얘기 아니냐"면서 "증거가 있다면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 되니까 왔다갔다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원혜영 의원도 "개성공단 자금이 북한 돈줄이라는 사실을 통일부와 정부가 사전에 알고도 계속 공단을 운영했다면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면서 "만약 공개 회의에서 밝히기 어렵다면 비공개로 전환해 보고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홍 장관은 "확증이 있다면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될 수 있겠지만 확증은 없는 상태에서 우려만 있었다"면서 "저는 확증이 있다고 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홍 장관은 "여러 경로를 통해서 보니까 개성공단 자금의 70% 정도가 당 서기실, 39호실로 들어간다고 파악됐다고 생각하고 방송에서 이를 말한 것"이라면서 "그에 앞서 12일 기자들과의 질의 응답에서는 이를 얘기해도 될지 판단이 서지 않았다가 국민께 알려드리는 게 낫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홍 장관은 "70%가 (북한당국에) 들어간 것은 자료가 있어도, 그 이후는 없다는 것이냐"는 새누리당 정병국 의원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요컨대 개성공단 자금의 70%가 북한 당국으로 유입되는 것은 파악했지만, 그 이후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투입 여부는 추측만 할 뿐 확인할 수 없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홍 장관은 "이 상황의 엄중성을 말하기 위한 것으로 저의 진의를 이해해 달라"고 부연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