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 안중에 없니?” 개성공단 운영 중단에 입주기업 피해 호소

입력 2016-02-11 14:34 수정 2016-02-15 10:15
개성공단이 가동이 전면 중단되자 개성공단기업협회가 긴급 총회를 열었다.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표정이 근심에 가득찼다. 김지훈 기자.

정부가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개성공단 운영 중단을 선언하자 온라인 곳곳에선 피해를 입었다는 입주업체들의 불만이 쏟아졌다.

11일 온라인 커뮤니티 오늘의 유머에는 “개성공단 폐쇄로 아버지 사업에 타격을 입었습니다”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와 화제를 모았다.

해당 게시물에는 “자신의 아버지가 의료기기를 생산하는 업체를 운영하고 있으며 개성공단을 통해 제품의 겉 포장지를 공급받고 있다”고 적혀있다. 글에는 또 “의료기기 자체를 개성공단에서 생사하는 게 아니라 큰 타격이 없을 것 같아 보이지만 상품 포장지가 없어 배송 할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고 설명돼 있다.

아울러 “중국 업체의 품질은 맞지 않아 몇 배 비싼 국내 업체의 제품을 알아보고 있다”고 적혀 있다. 게시물을 올린 글쓴이는 댓글을 통해 “연휴 마지막 날 뉴스 속보를 보고 나간 아버지께서 다음날 1시가 넘어 들어오셨다”며 분통을 터트리기도 했다.

해당 게시물은 삽시간에 1만7000건이 넘는 조회수와 수 십 건의 댓글이 달리며 화제를 모았다. 댓글은 입주업체와 사전 조율 없이 일방적으로 운영 중단을 선언한 정부에 대해 강한 불만을 토로한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한 네티즌은 “이런 중대한 사안을 입주업체와 사전조율 없이 진행했다”며 “기사를 보고 뒤늦게 상황 파악해 수습해야 하는 처지가 참 안타깝다”고 지적해 100건에 달하는 좋아요를 받았다. 다른 네티즌도 “금전적 손실은 정부에서 지원한다고 해도 잃어버린 신용은 어쩌라는 거냐?”며 “최소한 입주업체에 비밀리에라도 알려 대비할 수 있게 해야 하는 게 정상적인 순서다”라고 지적해 많은 공감을 샀다.

이 밖에도 “6·25 한국 전쟁 당시 한강 철교를 끊은 이승만 초대 대통령이 생각난다” “국민의 안전은 안중에 없기에 내릴 수 있는 결정이다” “자본주의 독재정권에서만 가능한 일인 듯” “선거에서 이기려고 국민의 밥줄을 끊는 정부” 등의 반응도 이어졌다.

앞서 정부는 이날 오전 9시부터 출경이 시작돼 30분 단위로 오후 5시까지 모두 11번에 걸쳐 철수를 진행하며 국민의 신변 안전과, 기업의 피해 최소화를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2013년 160일 동안 가동을 중단했을 때에도 입주업체들이 14억원의 피해를 입었던 점을 감안하면 이들의 피해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당시 협력업체의 손실까지 더하면 피해액은 1조원이 넘은 것으로 추정됐었다. 더욱이 실무협의에서 남측 인력 7명을 미수금 명목으로 붙잡아 우리 정부가 140억원을 지급한 뒤 귀환할 수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피해 액수는 터 크다. 이번엔 2013년 때보다 체류인원이 많은데다 사전 협의조차 없이 북측에 먼저 통보한 뒤 철수절차를 밟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피해 규모는 더 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통일부는 현재 남측 인원 132명이 개성공단에 들어가 있고 귀환 예정 인원은 68명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잔류인원은 전날까지 184명이었으며 이날 추가로 들어가 철수를 위해 남게 되는 인원까지 포함하면 248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관측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