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강한 추위로 인해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대상포진 환자가 늘고 있다. 대상포진은 암, 에이즈, 항암치료, 방사선요법, 이식 후 거부반응을 막기 위한 면역억제제나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복용하는 경우 등 과거 병력이 있거나 고령의 중·장년층에게서 많이 발병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스트레스, 피로, 영양 불균형 등의 면역력 저하로 인해 20~30대 젊은층에서도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대상포진의 원인은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다. 이 바이러스는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뒤 신경 주위에서 무증상으로 남아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처음 발병 시에는 두통과 열이 나며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 그러나 감기와 달리 띠모양의 피부발진이 나타나며, 특정부위가 쑤시고 찌릿찌릿한 통증이 온다.
대상포진은 대개 1~2주 내 피부에 딱지가 생기며 통증이 가라앉는다. 그러나 일부 환자들이 대상포진이 호전된 이후에도 통증이 없어지지 않고 지속되거나 오히려 심해지는 후유증이 나타난다.
이러한 후유증을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라고 하는데, 얼굴 부위에 나타나는 경우 시력을 상실하거나 안면 마비가 오는 구안와사(안면신경마비)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대상포진 후 신경통은 살짝 스치기만 해도 깜짝 놀라거나 선풍기 바람에도 통증을 느끼는데, 문제는 이러한 심한 통증이 평생 없어지지 않고 계속될 수 있으며 식욕부진, 우울증, 불면증이 동반돼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대상포진 후 신경통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하고, 소독과 피부연고를 발라 통증을 줄일 수 있다. 그럼에도 통증이 계속되고 가라앉지 않는다면, 신경부위를 차단하는 신경차단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하지만 환자가 수술에 대한 부담으로 심적 압박을 크게 느낄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후유증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채원자연통합병원은 약물과 수술적 치료를 하지 않는 ‘온새미로 치료’를 통해 대상포진 후유증을 줄이는데 노력하고 있다. 온새미로 치료는 우리 몸을 훼손하지 않고 인체의 세포를 살리고 치료해 면역력상승 뿐만 아니라 세포의 기능과 자가회복능력 기능까지 복구하는 치료법이다.
채원자연통합병원 오상용 원장은 “대상포진을 간과하고 오래 두면 완치율이 낮아지고 후유증이 오래 남을 수 있기 때문에 대상포진을 조기 발견하여 빠른 치료가 이뤄져야 한다”며 “또한 대상포진 후유증 역시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대상포진 후유증 또한 신속한 치료 필요
입력 2016-02-11 1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