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5시간 이상 앉은 채 지내는 남성 노인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비만 확률이 1.5배 더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대안암병원은 가정의학과 김양현(사진) 교수팀이 ‘2013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60세 이상 노인 1565명(남 656명, 여 906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노인을 대상으로 앉아있는 시간과 비만 및 복부비만의 역학관계를 규명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김 교수팀은 이번 연구에서 체질량지수 25이상을 비만, 허리둘레가 85(여자)~90(남자)㎝ 이상일 때를 복부비만으로 각각 규정했다.
그 결과 앉아있는 시간을 5시간 이상과 미만으로 나누었을 때 5시간 이상 앉아있는 남성은 그 미만인 남성에 비해 비만이 1.54배 더 높았다. 특히 5시간 이상 앉아있는 가계 소득수준 하위 25%의 남성은 5시간미만으로 앉아있는 가계 소득수준 상위 75%의 남성보다 비만 유병률은 1.80배, 복부비만은 1.64배 더 높게 조사돼 눈길을 끌었다. 하지만 여성의 경우엔 두 그룹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이는 결국 앉아있는 시간이 5시간 이상인 남성은 비만해질 가능성이 높고, 그 위험은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더 높다는 뜻이다.
김양현 교수는 “요즘 비만은 예전처럼 많이 먹어서 발생하는 요인도 있지만, 앉아 있는 시간이 늘어난 것도 중요한 원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 동안 비만감소를 위해 음식섭취를 줄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제는 신체활동을 늘리고 앉아있는 시간을 줄이는데 더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비헤이비오럴 메디신(Behavioral Medici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하후 5시간 이상 앉아있는 남성 노인 비만위험 높다
입력 2016-02-11 1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