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북 제재 조치로 개성공단 중단을 선언하자 입주기업들의 불만이 폭발했다. 개성공단기업협회는 정부의 재고를 강하게 요구하는가 하면 중소기업들은 북한 보다 중소기업이 먼저 도산할 처지 놓였다며 정부의 대북제재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특히 온라인 곳곳에선 개성공단에 124개 기업, 184명의 남측 노동자가 체류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운영 중단 선언은 부적절한 조치라는 비난이 쏟아졌다. 실제 통일부도 이들의 안전에 대해 제대로된 답변을 내놓지 못한 상황이다.
정기섭 개성공단기업협회 회장은 10일 통일부의 개성공단 운영 전면 중단에 대해 “기업의 피해는 어떤 방법으로 치유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며 정부 결정을 재고해 달라고 요청했다.
정 회장은 “설 연휴 마지막날 정부가 갑자기 통보했다”며 “기업이 피해를 최소화할 말미도 주지 않고 전면 중단을 결정해 일방적으로 통보한 것은 심히 부당한 처사”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실제 개성공단에 패션 부자재를 발주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10일 국민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정부의 일방적인 통보에 강한 불만을 토로했다.
이 관계자는 “설 연휴 마지막 날 청천벽력 같은 통보를 받았다”며 “춘절이 되기 전에 납품기일을 맞추려고 일을 서둘렀는데 정부의 일방적 개성공단 운영 중단에 물건을 뺄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며 울상을 지었다. 이 관계자는 또 “최악의 불경기로 힘든 상황인데 납품기한을 제때 못 맞추면 도산까지 할 수 있다”며 “2013년 4개월 중단했을 당시의 악몽이 재현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더불어 온라인 곳곳에선 개성공단에 잔류해 있는 남측 인력 184명의 안전을 우려한 목소리도 높았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네트워크(SNS)에는 개성공단 운영 중단을 선언하기 이전에 개성공단에 잔류해 있는 남측 인력을 철수하는 게 먼저라는 지적이 이어졌다.
한 네티즌은 자신의 트위터에 “현재 184명이 개성공단에 체류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운영 중단을 선언한 것은 이들이 인질로 잡혀도 ‘그만’ 이라는 것”라고 지적해 많은 네티즌들의 공감을 샀다. 이들의 무사귀환을 바란다는 의견도 많았다.
이에 대해 통일부 관계자는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결정한 것”이라며 “북측과 협의해 가급적 빨리 남측 인력을 철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철수 계획이나 방법에 대해서는 답하지 못했다. 또 이들의 신변 위협이나 억류 가능성에 대해서도 답변을 하지 못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
[관련기사 보기]
“184명 남측 인력 체류 중인데…” 개성공단 운영 중단에 안전 우려
입력 2016-02-10 1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