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우울증을 겪은 여성 10명 중 7명이 성욕저하를 경험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또한 알코올 중독에 빠질 위험 역시 일반 우울증 환자보다 1.9배 높았다.
삼성서울병원(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홍진표 교수)과 서울대병원(정신건강의학과 조맹제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6, 20011년 전국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에 참여한 여성 1만8807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은 출산과 우울증 경험이 있는 여성 679명 중 산후우울증을 앓은 95명과 그렇지 않은 여성 584명을 비교했다.
이 결과 산후우울증을 경험한 여성 중 75.5%가 성욕저하를 경험했다고 답한 데 비해 일반적인 우울증 여성은 이런 비율이 63.2%로 낮았다. 우울증 증상이 없는 평상시에도 성욕저하가 지속됐다는 답변도 산후우울증 경험 여성이 37.6%, 일반 우울증 경험 여성이 27.1%로 차이를 보였다.
생리 시작 1주일 전부터 시작되는 ‘생리 전 기분장애’ 위험도는 산후우울증을 겪은 여성(42.5%)이 그렇지 않은 경우(24.2%)의 2배에 달했다. 생리 전 기분장애란 생리 전에 감정 기복이 심해지고 화를 잘 내며 불면증, 의욕저하, 폭식증이 심해져서 일상적인 생활에 큰 지장을 주는 상태를 말한다. 남편을 비롯한 가족들과의 불화로 이어지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심각한 것은 산후우울증을 겪은 여성의 알코올중독이 심했다는 점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5명 중 1명꼴인 20%가 알코올중독 증세를 보여 일반적인 우울증을 겪은 여성(11.6%)에 비해 상대적 위험도가 1.89배나 됐다.
전홍진 교수는 “산후우울증은 아이 양육을 방치하게 되는 원인으로, 엄마-아이 간의 애착관계 형성에 지장 줌으로써 산모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아이의 정서발달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기분장애학회(IISAD)가 발행하는 공식 학회지(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최신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기자
산후우울증 여성 "섹스가 싫어요"
입력 2016-02-10 11:34 수정 2016-02-10 1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