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협의가 본격화된다. 국방부는 7일 “한·미양국이 점증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가능성에 대해 협의를 시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류제승 국방부 정책실장은 이날 긴급 브리핑을 갖고 “지난 2일 커티스 스캐퍼로티 한미연합군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이 사드의 한반도배치를 건의했다”며 “한미동맹차원에서 협의키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토머스 밴달 주한 미 8군 사령관도 “사드문제를 좀 더 발전시킬 때가 됐다”며 “북한의 위협에 대해 계속해서 긴밀히 협조 공조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류 실장은 “한미동맹이 이러한 방어적 조치를 취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북한이 전략적인 도발을 감행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와함께 북한이 비핵화에 대해 진정하고 신뢰성 있는 협상을 거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미는 이를 위해 공동실무단을 구성해 협의를 진전시키기로 했다. 실무단은 사드 배치를 위한 부지선정과 비용협의 등 다양한 사안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류 실장은 “가능하면 빠른 시간내에 결정을 내리도록 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외교부는 중국과 러시아에 한·미가 사드의 한반도 배치 협의를 시작한다는 점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드는 1개포대가 배치될 것으로 전망된다. 류 실장은 “사드 1개 포대는 포대 통제소와 사격통제 레이더, 6개의 발사대 48발의 요격미사일로 구성된다”고 밝히고 “1개 포대 획득 비용은 1조원 정도”라고 밝혔다. 류 실장에 따르면 한국측은 사드의 부지와 기반시설을 제공하고 미측은 전개 및 운용유지비용을 부담하게 된다. 주한미군 사드 1개 포대는 남한 지역의 1/2이나 2/3까지 방어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우리군이 사드를 도입할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사드 배치에 대해 반발하고 있는 중국을 감안, 류 실장은 배치되는 사드는 대북한용으로만 사용된다고 강조했다.
앞서 북한은 이날 오전 9시30분쯤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감행했다. 북한 조선중앙TV는 이를 광명성 4호라고 명명하며 본격 우주개발 시대를 열겠다고 주장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한미의 선택은 사드 배치… 北 광명성 로켓 대응책
입력 2016-02-07 1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