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치밀함… 장거리 로켓 잔해 인양 쉽지 않을 듯

입력 2016-02-07 14:37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비해 훈련하는 우리 해군. 사진=합참 제공

지난 2012년 12월 12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시와 7일 발사한 장거리 미사일의 1단 추진체 잔해 인양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당시와 달리 이번에는 1단 추진체가 폭발하면 분리돼 270여개의 파편으로 분산 낙하됐기 때문이다. 군은 북한 미사일 발사에 대비해 서해와 제주도 남쪽 해역에서 인잔해 수거를 위한 준비를 했으며 수거작업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군사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번 발사시에는 1단추진체에 기폭장치를 해놓았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지난 2012년 발사시 군은 서해상에 떨어진 1단추진체 연료통을 거의 통째로 수거해 북한 미사일의 엔진구조와 연료 및 산화제, 엔진재생냉각방식, 보조엔진등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 때문 북한이 이번에는 1단추진체에 기폭장치를 장치해 분리시 폭발하도록 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잔해물이 수거된다고 하더라도 워낙 잘게 부서져 정확한 기술정보를 파악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다.

한 미사일 전문가는 “기폭장치 부착은 어려운 기술이 아니다”며 “1단 분리시간을 지정하는 타이머와 함께 기폭장치를 부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문가에 따르면 기폭장치가 부착되지 않았더라도 1단 추진체가 폭발할 수 있다. 추진체 낙하속도가 마하 5 정도로 상당히 빨라 공기마찰에 의해 폭발할 수도 있다는 소리다. 또 연료차단 밸브가 제대로 잠겨지지 않아 폭발했을 수도 있다. 장거리 발사체의 안정적인 궤도진입을 위해서는 추진연료를 상당히 세밀하게 조정해 정확한 추력을 내야한다. 이 때문에 일정 시간과 고도에 다다르면 연료가 자동차단돼 단 분리작업이 이뤄지는데 이 과정에서 연료차단밸브가 정확히 잠겨지지 않아 남아있던 연료가 폭발했을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