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7일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장거리 미사일 발사 도발을 강행했다.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감도 극도로 올라갔다.
박근혜 대통령은 대응 방안 마련을 위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했고, 외교부도 유엔 안보리 소집을 요청했다. 우리 군은 주변국과 공조해 궤적 추적에 나섰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오늘 오전 9시 30분쯤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장거리 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군 당국도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궤적을 탐지해 추적 중”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국제해사기구(IMO)에 알린 것처럼 태평양을 향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궤도추적 결과 북한이 오키나와 방향으로 발사했다고 밝혔다. 1단 분리는 성공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미사일이 제주 서남방 지역에서 소실된 것으로 알려져 최종적으로는 발사에 실패했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정부와 군 당국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긴급대응체제에 들어갔다. 박 대통령은 발사 직후 곧바로 NSC를 소집해 황교안 국무총리 등과 함께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외교부도 주유엔대표부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 소집을 요청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지난달 4차 핵실험에 이어 장거리 미사일 발사 도발까지 감행하면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수위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미·일을 중심으로 국제사회는 이미 지난달 6일 ‘강력하고 포괄적인’ 대북제재를 위해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를 논의해 왔다. 박 대통령은 최근 한·중 정상과 전화통화를 하며 북한에 대한 강력한 대북제재 마련을 합의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6일 미사일 발사 예고 기간을 기존 8∼25일에서 7∼14일로 갑자기 변경해 7일 미사일을 쏠 것이라는 관측을 낳았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北 김정은의 설날 미사일 도박… 6번째 장거리 미사일 발사
입력 2016-02-07 1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