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 화재사건 원인 규명 실패, 보상과 안전대책 발표

입력 2016-02-04 10:43
BMW가 지난해 논란이 됐던 차량 화재 사건에 대한 종합 대책을 4일 밝혔다.

사고원인은 ‘원인 파악 불가’라고 밝혔으나, 보상과 외부 수리업체에 기술정보 공개 등 대책 부분을 내놓았다. ‘원인불명 사고’에 대해 숨기기에 급급했던 자동차 업계의 관행에 비추면 BMW의 조치는 진일보했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조사 대상 차량은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신고된 화재 발생 BMW 차량 10대였다. 4대는 국립과학수사원구원(국과수)가 조사를 진행했고, 5대는 독일 BMW본사 화재감식팀과 BMW코리아 기술팀이 합동으로 조사했다. 나머지 1대는 외부수리업체에서 진행한 불량 부품 사용과 차량 개조로 인한 화재가 분명해 조사가 진행되지는 않았다.

BMW 코리아 측은 “(조사가 진행된 9건에 대해) 국과수와 독일 본사 화재감식팀 및 BMW 코리아 기술팀이 화재 건을 면밀히 조사했으나, 상당수 차량들이 완전히 전소돼 명확한 원인을 파악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BMW 코리아는 대신 9건의 차량 중 BMW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정기적인 관리와 정비를 받은 고객 5명에게는 보상을 실시하기로 했다. 차량을 바꿔주는 보상이 아니라 감가상각 등을 고려해 고객과 협의 하에 보상액수를 정했다. 외부 수리 이력이 있는 고객 5명에는 BMW가 직접 보상은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BMW 코리아 측은 “외부 수리가 화재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차량 보조 배터리 장착 및 배선 개조, 엔진 개조, 불량 부품 사용 등의 외부 수리 문제가 있어 보상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BMW 코리아는 안전대책도 내놓았다. 핵심은 차량 정비를 위한 BMW 자체 기술 정보 공개다. BMW 코리아는 올 상반기 중 부품 및 차량 정비를 위한 기술 정보를 온라인에 전면 공개하기로 했다. 한 관계자는 “자동차관리법(자동차 정비기술 공개 의무 법안)에 따라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으로 그동안 대외비로 관리해왔던 기술 노하우를 외부에 투명하게 공개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올 4월부터는 외부 자동차 수리업체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BMW 기술 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BMW 코리아는 전국의 외부수리업체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교육 세미나를 제공할 예정이다. 노후 차량을 대상으로 한 무상 안전 점검 캠페인도 진행된다. 최소 5년 또는 10만km 무상 소모성부품 제공기간이 만료된 차량을 대상으로 하며, 무상 안전 점검, 차량 수리 금액의 20% 할인 혜택이 제공된다. 이는 3월말부터 전국 BMW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진행된다.

BMW 코리아 김효준 대표는 “BMW는 프리미엄 브랜드로서 자체적인 기준을 더욱 강화하고 고객들이 더욱 안심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제도를 신속하게 적용할 것”이라며 “만에 하나 일어날 수 있는 사고에 대해서도 기술적 지원 및 적극적인 보상 조치를 통해 브랜드가 고객을 끝까지 책임질 수 있는 고객 만족 시스템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국민안전처 소방방재청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6년간 발생한 국내 자동차 화재는 총 3만1770건이며, 이중 승용차 화재 건수는 2만251대다. 이중 수입차의 비율은 약4%로 나타났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