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는 3일(현지시간) 북한의 '위성' 발사 계획 예고에 대해 한국과 일본이 강력한 대응방침을 발표한 것과 관련해 "주권국가로서의 결정사항"이라고 밝혔다.
존 커비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주권국가로서의 결정사항"이라며 "한국과 일본 정부가 어떤 대응조치를 취할 것인지는 양국에 문의해달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조태용 국가안보실 1차장 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은 한국시간으로 3일 청와대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예고와 관련한 정부의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조 차장은 "만약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강행할 경우 이는 한반도는 물론 이 지역과 전 세계의 평화와 안보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국제사회로부터 혹독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임을 엄중 경고한다"고 밝혔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3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한 자리에서 "북한의 위성 발사는 실제는 탄도미사일 발사를 의미한다"며 "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위반이자, 일본의 안보에 중대한 도발행위로, 한·미와 연대해 발사하지 않도록 강력하게 자제를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일본 정부는 자위대의 이지스함과 패트리엇 미사일 등에 의한 해상과 지상의 요격 태세를 유지하면서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美 국무부 “한국·일본 강경대응은 주권국가의 결정사항”
입력 2016-02-04 0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