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당국자는 2일 북핵 6자회담 중국 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의 방북에 대해 "북핵 문제와 관련해 한중 양국은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관련해서 구체적 사항을 확인해 줄 수 없음을 양해해 주기 바란다"면서 "구체적인 사항은 중국 측에 문의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정부 소식통은 "일본 언론의 보도대로 우 대표가 이날 평양을 방문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응한 유엔 안보리에서 제재 결의가 논의되고 있고,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추가 도발 가능성이 제기된 상황에서 우 대표의 방북 결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특히 우 대표는 방북 전에 우리 정부 측에도 방북 계획을 사전에 알려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한중간 우 대표의 방북과 관련한 소통과 협의가 이뤄졌을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 소식통은 "북중간에 대화는 당연히 필요한 것 아니냐"면서 "우리가 중국에 대해 북한에 가지 말라고 얘기할 필요는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우 대표의 방북은 최근 베이징에서의 미중 외교장관 회담 및 성 김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겸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우 대표와의 회동, 북한의 6자회담 차석대표인 최선희 외무성 미국 담당 부국장의 베이징 방문 이후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우리 정부와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북한의 핵실험에 대응해 '강력하고 포괄적' 대북제재를 위해 안보리 결의 및 양자차원의 제재를 추진하는 가운데 중국 측은 추가제재에는 원칙적으로 동의하면서 제재수위에서 뚜렷한 온도차를 보이면서 6자회담 재개 등 대화를 통한 해법을 강조하고 있다.
우 대표는 방북에서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 추가도발을 억제하는 한편, 안보리 제재 결의 이후에라도 대화의 실마리 마련을 위한 북측의 전향적 조치를 촉구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북측의 '성의있는 조치' 전제로 안보리 결의는 물론 이와 병행한 국제사회의 양자차원의 대북제재 수위를 낮추고, 이를 대화 모멘텀으로 활용하려는 중국 측의 포석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북한의 핵보유 의지가 명확하고, 한미일을 중심으로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강력한 제재와 '대화를 위한 대화'를 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강해 우 대표의 방북 이후 새로운 모멘텀을 기대하기는 현재로서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中 우다웨이 방북, 우리 정부에 사전 통보 “한중, 긴밀히 소통”
입력 2016-02-02 1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