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는 1일(현지시간) 신생아에게 소두증(小頭症)을 유발할 수 있는 지카 바이러스의 확산이 이례적인 사례라고 보고 국제 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했다. 과거 에볼라에 대해 비상사태를 선포했을 때보다 서둘러 비상사태를 선포한 것으로 그만큼 현 사태가 위중하다는 방증이다.
WHO는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긴급위원회 회의 결과 지카 바이러스가 국제 보건 비상사태에 해당한다면서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마거릿 찬 WHO 사무총장은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지카 바이러스가 신생아 출산에 소두증 등을 유발하는지 결정적인 증거는 아직 없지만, 사태의 위협 수준이 매우 심각하다”면서 “여행이나 교역에 대한 금지는 필요하지 않지만, 국제적인 신속한 공동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찬 총장은 “긴급위원회 전문가들이 여러 증거를 검토하고 소두증이나 신경마비 증세 등이 나타나는 것은 아주 예외적인 경우이며 (브라질 등 남미는 물론) 세계 다른 지역의 공중 보건을 위협한다고 지적했다”면서 “개인은 물론 특히 임신한 여성들이 모기에 대한 대처를 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찬 총장은 또 “발병지역에 여행을 할 필요가 있을 때는 의사와 상의하거나 긴팔의 상의나 바지, 모기 퇴치제 등 개인 보호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WHO가 지카 바이러스에 대해 국제 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함에 따라 WHO를 비롯한 국제 의료 기관들의 재원이나 인력 등은 지카 바이러스 차단과 백신이나 치료제 개발에 집중된다. WHO 미주지역 본부는 지카 바이러스와 비슷한 댕기열 등의 발생 사례 등을 고려해 미주지역에서만 300-400만명이 감염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예상보다 빨리 WHO 지카 바이러스 국제 보건 비상사태 선포
입력 2016-02-02 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