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을 운영하는 노동자 중 85%가 하청업체 소속이었다. CCTV는 3명의 직원이 24개를 모니터링 하는데 그나마 비정규직이다. 보안과 방제 분야, 소방대와 폭발물 처리반까지 모두 용역 직원일 뿐이다. 박근혜정부 들어 사장은 3년 연속 낙하산, 이마저도 지금은 총선 출마한다고 나가버리고 공석이다. 최근 한 달 새 2번의 밀입국 허용, 1번의 아랍어 폭발물 의심체 발견, 연초엔 수하물 대란마저 발생한 인천공항 이야기다.
급기야 공항 운영의 한 축인 노동조합이 나서서 국민안전과 테러대비를 위해 정상적 인력을 고용하라고 촉구했다. 공항도 사람이 운영한다며, 인력 고용을 비용으로만 보지 말고, 테러방지법 통과만 외치지 말고, 정상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해달라고 촉구했다.
인천공항에 있는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본부의 신철 정책기획국장은 1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올 것이 온 것”이라고 말했다. 아랍어 메모가 담긴 테러 의심물체 발견과 8일새 2차례나 밀입국 외국인에게 뚫린 현실을 개탄하면서 나온 말이다. 신 국장은 “공항 이용객, 여객수는 개항과 비교해 2배 이상 훨씬 늘었는데, 노동자는 거의 늘지 않았다”라며 “공항 운영 7000명 중 85%가 하청업체 노동자”라고 말했다.
지난 10년간 공항 서비스 1위였던 인천공항은 정작 보안과 안전 운영 부문에는 매우 취약했다고 지적했다. 신 국장은 “당장 눈에 보이지 않는, 돈이 안 되고 이미지를 좋게 할 수 없지만 꼭 필요한 안전 분야는 소홀히 한 게 아닌가 한다”라고 말했다. 정부가 대응책으로 내놓은 보안업체 즉각 퇴출 등에 대해서도 “계약기간이 끝나가는 하청업체한테 책임을 돌리는 게 뭐냐 하면, 폭탄을 해체하는 게 아니고 폭탄을 돌리게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민 비판 여론엔 아랑곳없이 계속 투하되는 낙하산 인사들의 사장직 자리 차지하기에 대해선 “저희는 인천공항 사장이 필요 없다고 생각한다”라고 직원들 분위기를 전했다. 신 국장은 “사장이 공항을 잘 아는 사람이 온 적이 별로 없다”라며 “선거에서 떨어진 사람들을 보훈 차원에서 내리 꽂았던 것”이라고 했다. 그는 “사장은 월급 주는 명예직 정도”라고 언급했다. 참담한 현실이다.
이러면서 박근혜정부가 역대 어느 정부보다 더 테러대비를 외치고 테러방지법 직권상정까지 주문하는 것은 아이러니다. 신 국장은 “비용 절감 방식의 조직 운영, 인력 등 이런 경영 마인드가 이제는 좀 국민안전으로 바뀌어야 한다”라며 “테러 청정 지역이 아니니까”라고 말했다.
우성규 기자 mainport@kmib.co.kr
“공항도 사람이 운영합니다” 85% 비정규직, 인천공항의 보안구멍
입력 2016-02-01 1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