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1일 미국의 고(高)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문제에 대해 "방어차원에서 사드 공론화는 당연한 과정"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나라도 사드에 대해 전향적이고 적극적인 입장을 가질 때가 됐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의 4차 핵실험은 김정은 정권이 언제든 핵전쟁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한 정권임을 일깨웠다"며 "사드는 공격용이 아닌 방어용이다. 북핵은 국가안보와 국방에 직결되고 우리 생사가 걸린 사안인 만큼 국제적 이해관계 등 부차적인 문제로 누구의 눈치를 볼 사안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또한 "사드의 기술적 문제를 얘기하면서 중요성을 깎아내리는데 이런 소극적 태세로 임해선 안된다"며 안보태세를 점검하고 장병들을 격려하기 위해 이날 철원의 전방부대를 방문할 계획임을 알렸다.
김 대표는 지난달 29일 원샷법, 북한인권법 처리를 위해 열기로 했던 본회의가 선거구 획정(선거법)을 우선 처리해야 한다는 더불어민주당의 요구에 무산된 것과 관련, "야당의 지도부가 국민을 속이면 안된다"고 비판했다.
그는 "여야의 합의는 국회가 국민에게 한 약속인데 원외에 있는 김종인 더민주 비대위원장이 취임 첫 작품으로 국민과의 약속을 손바닥 뒤집듯 파기했다"며 "경제학 박사이자 전문가를 자처하는 김 위원장이 '법 하나로 경제가 살아나지 않는다'며 경제 문제를 외면한 채 민의를 대변하는 국회를 거짓말의 산실로 만들었다"고 비난했다.
김 대표는 "김 위원장의 저서 '지금 왜 경제민주화인가'를 보면 고임금 파티에 매몰된 귀족 노조를 정면 비판했는데 더민주에 들어가더니 그동안의 김종인은 온데간데 없고 전혀 다른 김종인이 됐다"며 "이런 문제제기에 대해 김 위원장이 입장을 명확하게 국민 앞에 밝혀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김 대표는 또한 총선 출마를 위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한 당 예비후보가 지난 총선 대비 약 20% 늘어났음을 언급, "국민공천으로 인해 유망한 청년들이 대거 새누리당에 유입된 결과"라며 "지역에서 출발하는 생명력 있는 풀뿌리 후보들이 민주적인 절차로 정치에 입문하고 정치를 발전시키도록 당내 경선 과정을 투명하고 철저하게 관리하겠다"고 다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사드 도입, 누구 눈치볼 사안아니다” 김무성 “공론화 당연”
입력 2016-02-01 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