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 또 뒤통수 "위안부 강제연행 증거없다" 유엔에 제출

입력 2016-01-31 10:30

일본 정부가 군위안부 강제연행의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공식 입장을 지난해말 한·일 합의 이후 유엔 기구에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연합뉴스가 31일 보도했다. 이번 일본의 입장이 공식적으로 나옴에 따라 한·일 합의를 놓고 벌어진 ‘저자세 외교’ 논란이 또 다시 가열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위안부 할머니들과 진보 진영에서는 한·일 합의 뒤에 합의와 위배되는 일본의 무책임한 행동과 발언이 잇따르면서 청와대와 외교부에 대한 비난 여론이 높아져왔었다.

연합뉴스는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홈페이지를 들어 “일본 정부는 내달 15일부터 3월 4일까지 제네바 유엔 본부에서 열리는 여성차별철폐위원회(이하 위원회) 제63차 회의를 앞두고 위원회에 제출한 답변서에 군위안부 강제연행의 증거가 없다는 주장을 실었다”고 전했다.

이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일본 정부의 관련 부처와 기관이 가진 유관 문서의 연구와 조사,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서의 서류 검색, 전직 군부 측과 위안소 관리자를 포함한 관계자에 대한 청취 조사,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에 의해 수집된 증언 분석 등 전면적인 진상 조사를 실시했다”면서 “이런 조사에서 일본 정부가 확인할 수 있는 서류 어디에도 군과 관헌에 의한 위안부 강제 연행(forceful taking away)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같은 주장은 여성차별철폐위원회가 “최근 위안부의 강제적인 이송(forcible removal)을 입증하는 증거는 없다는 공적인 발언들을 접했다. 그 정보에 대해 언급해달라”고 질의한데 대한 답변이었다. 위안부 강제연행의 증거가 없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은 일본과 국제 역사학계에 의해 진실 왜곡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