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강제연행 증거 없다?” 日의 UN 문서 전문

입력 2016-01-31 09:53 수정 2016-01-31 11:20
일본 정부가 위안부 강제연행의 증거가 없다는 입장을 UN에 제출했다. 군 위안부 합의 이후 ‘최종적·불가역적 해결’을 위한 행보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홈페이지에 의하면 일본 정부는 2월 15일부터 3월 4일까지 제네바 유엔 본부에서 열리는 여성차별철폐위원회 회의를 앞두고 위원회에 제출한 답변서에 군위안부 강제연행의 증거가 없다는 주장을 펼쳤다. 한일 위안부 합의에서 “마음으로부터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표명한다”고 밝힌 일본 아베 정부의 뒷모습이었다.



일본 정부는 “일본 정부의 관련 부처와 기관이 가진 유관 문서의 연구와 조사,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서의 서류 검색과 전직 군부 측과 위안소 관리자를 포함한 관계자의 청취 조사,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에 의한 증언 분석 등 전면적인 진상조사를 했다”며 “이런 조사에도 일본 정부가 확인할 수 있는 서류 어디에도 군과 관헌에 의한 위안부 강제 연행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위안부 문제를 교과서에 반영하게 대중에게 일깨울 의향이 있느냐”는 위원회의 질문에 “일본 정부는 국정 교과서를 채택하고 있지 않아 학교 교육에서 다뤄질 특정 내용에 대해 답할 위치에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과 동티모르 등을 포함한 아시아 여성기금(1990년대 위안부 보상을 위해 만든 일본 민·관 기금)의 혜택을 받지 못한 나라의 위안부들에 보상 조치를 취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일본 정부는 그럴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일본 정부는 또 “지난달 28일 한일 합의로 일본 정부와 한국 정부는 위안부 문제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해결됐음을 확인했다”며 한일 합의 발표문 전문의 영어 번역본을 첨부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