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 정대협, 민주노총 집회 평화적으로 마무리

입력 2016-01-30 18:55
30일 서울 도심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를 주장하는 정대협 등의 집회와 민주노총의 일반해고 등 양대 지침에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와 행진이 평화적으로 끝났다.

오후 2시 서울광장에서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등 400여개 단체로 구성된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와 정의로운 해결을 위한 전국행동'이 집회를 열어 한일 합의 무효화를 촉구했다.

정미향 정대협 대표는 “일본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재단에 출연하겠다는 10억엔(약 100억원)을 받지 않고, 시민의 힘으로 재단을 만들겠다”며 ‘정의 기억재단’ 설립 취지를 알렸다.집회를 마친 1천여명의 참석자들은 서울광장을 떠나 종로1가, 남인사마당, 북인사마당, 옛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으로 행진했다.

이어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3시30분부터 서울광장에서 가맹·산하조직과 단위사업장 조합원 등 1만명(경찰 추산 5천400명)이 참가한 가운데 ‘총파업 승리 전국 노동자대회'를 진행했다.

민주노총은 정부가 이달 25일부터 노동 현장에서 본격 적용한 ‘일반해고’ 및 ‘취업규칙 변경요건 완화’ 등 양대 지침이 “노동자 서민의 삶을 파괴하는 노동 개악”이라고 비판하고 양대 지침에 맞서 노동 현장에서 지침 ‘불복종 투쟁'을 전개하고 총파업 태세를 갖춰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올해 4월 총선에서 ‘노동개악'을 추진한 새누리당을 심판하겠다고 강조했다.

집회를 마친 오후 5시부터 대다수 참가자는 서울광장을 출발해 모전교, 광교, 종로1∼3가, 을지로3가, 을지로2가, 삼일교를 거쳐 청계천 한빛광장까지 3개 차로를 이용해 행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