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판본인 것으로 알려졌던 보물 ‘증도가(證道歌)’ 2점이 조선시대에 인쇄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29일 확인됐다.
문화재정 문화재위원 등 전문가 7명이 25일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서울 삼성출판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증도가(보물 제758-1호)와 경남 양산 공인박물관에 있는 증도가(보물 제758-2호)를 조사한 결과 조선시대 인쇄본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사실은 지난해 대구에 사는 김모씨가 본인 소유의 또 다른 증도가에 대해 문화재 지정 신청을 해 보물 증도가 2점과 비교 분석하는 과정에서 밝혀졌다. 김씨의 증도가는 조선 성종대인 1472년 작성된 발문이 붙어있었던 점을 근거로 1472년 인쇄본으로 밝혀졌다고 문화재 위원들은 전했다. 또 이 증도가를 인쇄할 때 사용한 고려시대 목판이 보물 증도가 2점을 인출(印出)한 목판과 동일하다는 점도 드러났다. 인출 시기는 김씨 증도가를 기준으로 삼성출판박물관 소장본은 그 앞에, 공인박물관 소장본은 그 뒤로 추정된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보물 ‘고려증도가’ 두 점, 조선시대 인쇄됐을 가능성 커”
입력 2016-01-29 1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