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 다소 낯선 병명이지만 60대 이상에서는 허리디스크만큼 자주 발병하는 대표적인 노인성 척추질환이다.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허리를 많이 쓰거나 오랜 시간 잘못된 자세를 유지할 경우 발생할 확률이 크다. 특히 허리 근육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겨울철에는 척추질환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신경다발이 통과하는 구멍인 척추관이 나이가 들어 폭이 좁아지면서, 신경을 누르는 현상을 일컫는다. 한 번 좁아진 척추관은 자연적으로 회복이 되지 않으며, 증상이 악화될 경우 마비나 대소변 장애 등이 유발될 수 있어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척추, 관절 전문 병원 안산 21세기 병원 척추센터 문경윤 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은 허리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허리디스크와 비슷하지만 허리를 펴면 통증이 심해지고 앞으로 굽힐 때 통증이 줄어드는 점, 허리 통증과 함께 엉덩이나 항문, 종아리, 발끝 등이 저리거나 아프다는 점, 오래 걸으면 다리가 터질 듯이 아프거나 힘이 빠진다는 점에서는 차이를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이러한 증상이 수반될 경우 충분히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나이 탓’에 의한 요통으로 치부하며 약물에만 의존하기 보다는, 조속히 병원을 찾아 증상에 맞는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에 발견할 경우 물리치료나 약물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통해서도 충분히 증상 완화가 가능하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병의 완치 및 정상적인 생활을 위하여 반드시 척추 고정술과 같은 수술이 필요한 환자도 있다. 척추는 각 마디가 서로 연결돼 있는 구조이며, 이 마디가 약해질 경우 디스크탈출증, 척추관협착증, 척추전방전위증 등의 각종 척추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질환들은 ‘척추 유합술’을 통해 개선이 가능하다.
척추유합술은 척추 마디의 확실한 치료를 위하여 마디와 마디를 하나의 척추로 연결 및 고정하는 수술 방식이다. 다만 병든 척추를 단단히 고정시키는데 정확한 기구 고정 및 세밀한 뼈 이식 등 고도의 수술기법이 필요하기 때문에,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한 의료진의 집도 하에 수술을 진행해야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기존의 척추뼈융합술이 지녔던 단점을 보완한 ‘무수혈척추융합수술’도 각광받고 있다. 무수혈척추융합수술은 최소 침습법을 이용해 근육을 크게 절개하지 않고 병변 부위만을 특수 기구로 정밀하게 접근해 제거한다.
가급적 최소한의 상처만을 내기 때문에 안전하며 출혈이 거의 없어 별도의 수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수술시간도 단축된다. 허리 척추 움직임에 필수적인 근육을 건드리지 않기 때문에 수술 후 회복 역시 빠르다. 수술 중 과다한 출혈과 신경손상, 신경유착과 같은 합병증의 위험이 적어 노년층이나 당뇨병이 있는 환자들도 시술이 가능하다.
안산 21세기 병원 척추센터 문경윤 원장은 “모든 질환이 그렇듯 척추질환도 사전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평소 꾸준한 운동과 스트레칭으로 허리 주변 근육을 강화하며, 무거운 물건을 들 때는 가능한 허리가 아닌 다리의 힘으로 천천히 들어올려 허리 근육에 무리를 주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미 척추관협착증이 진행된 경우에는 증상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통해 조속한 문제 해결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엉덩이, 종아리, 발끝에 통증 느껴진다면 ‘척추관협착증’의심해 봐야 해···
입력 2016-01-29 0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