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종걸 원내대표는 28일 정의화 국회의장이 제시한 국회선진화법 중재안과 관련, 기본적으로는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도 국회 운영위에서 심도 있는 검토를 하고 대안도 내놓겠다고 밝혔다.
기존의 입장에서 변화가 느껴지는 대목이어서 주목된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 의장 중재안에 대해 "현재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내용"이라며 "전시에 준하는 사변으로 명백히 돼 있던 직권상정 요건을 국가안보 또는 경제위기 등 추상적 요건으로 완화한 것과 신속처리 과정을 (재적의원) 5분의 3에서 과반수로 한 점에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선진화법은 예산과 예산 부수법률의 자동상정을 너무 중시하는 구조이며 일반 법률의 경우 선진화법의 신속처리 대상을 제외하고는 상당히 처리하기가 어려운 면이 있다. 다만 직권상정이라는 제도를 한 번 더 살펴봐야 한다"며 개정 필요성에 일정 부분 공감했다.
이 원내대표는 "의장의 중재안에 대해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심도 있는 논의를 하겠다"면서 "논의는 할 수 있으나 19대 국회가 끝나는 시점에 처리를 목적으로 (논의)하는 것은 시기적으로 어렵고 20대 국회 때 가장 중요한 안건으로 논의하면 좋겠다는 개인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어제(27일)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와 만났다"며 "저는 (새누리당의) 선진화법 개정 꼼수 행동에 대해 국회 운영위원회가 열리면 사과하라고 요청했고 원 원내대표는 직접적인 사과에 동의하지 않았지만 비슷한 입장을 밝히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는 앞서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도 정 의장 중재안에 대해 "선진화법의 특색을 완전히 삭감시킨 것이고 받을 수 없는 안이다. 우리가 주장했던 것과 정반대"라고 반대 입장을 견지했다.
그러나 "우리 당도 현행 국회선진화법이 완전하다거나 완벽하다는 게 아니다. 우리한테 불리한 점도 무수히 있다"며 "고쳐야 할 부분이 있다면 절차에 맞게 협의를 통해 고쳐야 한다. 필요하다면 대안도 내놓겠다"고 밝혔다.
이 원내대표는 여야가 29일 열기로 합의한 국회 본회의에 대해 "지금으로서는 불투명하다"며 이날 오후 4시 김종인 비대위원장 등 여야 당대표와 원내대표가 참여하는 '2+2' 회담을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선거법을 자꾸 무한정 연기하는 새누리당을 규탄할 수밖에 없다"며 "규탄 방법으로 불가피하게 본회의도 할 수 없다는 점을 국민에 호소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어 "선거법을 이렇게 소홀하게 무한정 게을리하는 새누리당을 압박하는 방법으로 여야가 처리하기로 합의한 원샷법과 북한인권법처리를 연기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이렇게 벼랑 끝 전술을 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그는 당 비대위에서 자신이 제외된 것과 관련 "제 개인의 어떤 입장보다는 원내대표의 직책상 비대위에서의 역할이 필요하다"며 "그건 당헌상 최고위원회의에 당연직 최고위원으로 원내대표가 들어 있는 취지와 같다"고 밝혔다.
그는 "원내상황을 보고하거나 배석자로 활동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한 점이 많다"면서 "선거를 앞두고 원내활동이 많이 축소됐지만 수시로 원내대표의 판단과 생각이 비대위에 전달되고 의논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대위에서 계속 제외되면 거취를 고민하겠느냐는 질문에는 "당 운영에 결절이 없어야 될 텐데 원내대표와 비대위 자리의 역할분담이 잘못돼서 중요한 시기에 그런 문제가 된다면 그건 당의 입장으로서도 좋지 않고 어떤 방식으로든지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이종걸이 뿔났다? “원내대표 직책상 역할 필요” 비대위 배제 폭발
입력 2016-01-28 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