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국정 역사교과서 집필을 이미 시작했다고 밝혔다. ‘안정적인 집필 환경’을 위해 편찬 기준은 당분간 공개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영 교육부 차관은 27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에서 국정 교과서 편찬기준이 이달 중순 확정됐고 이에 따라 집필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편찬기준을 빨리 공개하라는 요청이 있지만 최몽룡 교수 사태도 있었고, 지금은 집필진의 안정적 집필 환경이 더 필요한 상태여서 비공개로 가는 것이 나을 수 있다는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11월 국정 교과서 대표 집필진으로 초빙된 최몽룡 서울대 명예교수가 성희롱 의혹 등에 휩싸여 초빙 이틀 만에 자진 사퇴한 사건을 언급한 것이다.
이 차관은 편찬기준 공개 시점에 대해 “시간의 문제일 뿐 공개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라며 협의 중이라는 말을 반복했다.
이어 “기본적인 편찬방향은 객관적 사실과 헌법가치에 충실하고 대한민국에 자긍심을 갖도록 하는 것”이라며 “친일과 독재미화 부분은 당연히 들어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인터넷에는 “떳떳하다면 왜 공개하지 않느냐” “아무도 모르게 만드는 게 집필 기준인가” “신뢰를 주면서 신뢰를 운운하라” 등의 신랄한 비판이 쏟아졌다. 집필진 비공개 때와 같은 반응이다.
한 네티즌은 “국정교과서 ‘깜깜이’로 잘 만들어서 공개도 하지 말았으면 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정부가 내세운 ‘국민이 신뢰하는 교과서’는 자취를 감췄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국정교과서, 편찬기준 발표 않고 집필 중? “결과물도 공개하지 마” 비난
입력 2016-01-28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