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신용등급 4~7등급에 해당하는 이들이 현재보다 낮은 중금리(10% 안팎)에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금융위원회가 대책을 마련했다.
금융위 김용범 사무처장은 27일 “시중금리가 낮아지면서 신용이 높은 이들은 5% 미만의 저금리에 신용대출을 받지만 신용등급이 낮은 이들은 20%가 넘는 금리로 대출을 받는 등 금리구조가 양극화돼 있다”며 “중간층에 해당하는 신용등급 4~7등급에서도 비교적 낮은 금리에 금융기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 올해 하반기 내에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의 대책은 서울보증보험이 은행과 저축은행의 중금리 대출에 1조원 규모의 보증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여기에 하반기 출범 예정인 인터넷전문은행이 1조4000억원 규모의 중금리 대출에 나서고 신용정보집중기관을 통해 개인 신용평가와 리스크 관리가 좀더 세밀하게 이뤄지면 중금리 대출이 활성화될 것으로 금융위는 기대하고 있다.
서울보증보험이 은행권 5000억원, 저축은행 5000억원을 각각 보증하면, 은행은 4등급 이하 7등급까지의 중간 신용자들에게 연 10% 안팎의 대출을 1인당 2000만원 한도, 60개월 원리금 균등분할상황 형식으로 신용대출을 하고, 이 중 은행대출이 어려운 고객은 저축은행이 맡아 연 15% 안팎의 금리에 1인당 1000만원 한도로 신용대출을 실시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중간 신용자들의 연체율 등의 데이터가 은행에 없어 신용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점을 감안해 서울보증보험이 리스크를 나눠 분담하면서 중금리 대출에 대한 은행의 경험치를 쌓아주는 것이 정책 목표”라며 “중금리 대출의 안정성이 입증되면 본격적으로 시장이 활성화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
대출금리 양극화에 “중금리 대출 살리자”
입력 2016-01-27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