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종합대책과 부동산 물량 급증에 따른 우려로 올해 주택매매시장은 냉각기를 맞을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는 27일 발표한 ‘KDI 부동산시장 동향’에서 지난해 4분기 주택매매시장은 저금리 기조와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완화 등으로 매매가격이 상승하고 거래량이 증가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최근 공급 물량 급증에 따른 우려와 가계부채 종합대책 시행을 앞두고 호조세가 점차 둔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위원회는 가계부채종합대책 일환으로 지난달 14일 ‘여신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을 발표했고 오는 2월과 5월부터 각각 수도권, 비수도권에서 시행하기로 했다.
KDI에 따르면 주택매매거개량은 2분기에 2006년 이후 최고수준인 34만호였다. 그러나 점차 감소세를 보이면서 4분기엔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인 29만호로 떨어졌다.
KDI가 경제전문가를 대상으로 주택시장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 중 50%는 올해 주택매매가격 상승폭이 지난해보다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상승폭 축소 원인은 가계부채대책이 43%로 가장 많았고 주택공급증가도 21%나 됐다.
KDI는 미분양 물량이 지난해 11월부터 큰 폭으로 증가한 것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아파트 분양물량은 4분기에도 전년 동기보다 48.0% 급증했지만 감소세를 유지하던 미분양 물량은 지난해 11월 1만7503호 증가하면서 역대 최대 증가율을 보였다.
KDI는 올 1분기에도 전년 동기 대비 58.9% 증가한 7만4270호가 분양될 예정이라 향후 분양물량 급증에 따른 파급효과를 주의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주택임대시장 역시 전세가격 상승세가 계속됐다. 시장금리를 상회하는 전·월세전환율에 따른 전세공급물량 축소와 기대주택 가격 하락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은 올해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울의 경우 재건축이주 예정가구(3만)가 아파트 입주 예정물량인 2만3000가구를 상회할 것으로 보여 전세가 상승의 압박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가계부채로 올해 주택시장 호조세 둔화될 듯
입력 2016-01-27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