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후강사도 경력조작 "터질게 터졌다"

입력 2016-01-27 10:00
사교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초·중·고교가 운영 중인 방과후학교의 강사 채용을 둘러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교장 책임 아래 개별 강사를 직접 선발하던 일선 학교들이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민간업체에 위탁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난맥상을 드러내고 있다.

27일 인천 남동경찰서에 따르면 경찰은 A씨(31) 등 인천·부천 지역 방과후학교 강사 7명과 강사 파견업체 대표 B씨(40)를 공문서위조 및 행사 혐의로 입건했다.

B씨는 지난해 1월쯤 자신의 사무실에서 컴퓨터와 스캐너를 이용해 초등학교 학교장 명의로 된 경력증명서와 으뜸강사인증서를 위조한 혐의를 받고 있다.

B씨 업체에 속한 A씨 등 강사 7명은 이렇게 위조한 공문서를 인천과 부천의 27개 학교에 제출했다.

해당 학교들은 일종의 학교장 표창인 으뜸강사인증서를 보유한 이들 강사를 ‘경험 많은 우수강사’로 여겨 각각 3∼4개 학교에서 방과후학교 강사로 채용했다.

B씨는 이들 강사에게 수업 진행에 필요한 교재·교구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업체를 운영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계 안팎에서는 방과후학교 강사 구직 경쟁이 워낙 과열된 데다 학교 단위의 검증 시스템도 한계가 있어 이번에 적발된 ‘스펙 조작’에 대해 터질게 터졌다는 분위기다.

인천 초등학교의 경우 지난해 243개 학교가 총 6465개의 방과후학교 강좌를 운영했다. 학교당 평균 26개 강좌를 개설한 셈이다.

강사 한 명이 3개 정도 강좌를 맡는 점을 고려하면 2000명 가량의 외부 강사가 인천의 초등 방과후학교에 종사하는 것으로 지역 교육계는 보고 있다.

학생들은 강좌당 월 2만5000∼3만원의 수강료를 내고 외국어, 사회, 수학, 과학, 음악, 미술, 체육, 컴퓨터, 독서·논술 등의 수업을 듣는다.

학교들이 1년 단위로 채용하는 방과후학교 강사 자리를 놓고 벌어지는 경쟁은 최근 민간위탁업체들이 난립하면서 극도로 심해졌다는 지적이다.

5개 학교에 출강하는 한 강사는 “치열한 경쟁을 뚫고 여러 학교에 채용된 강사는 수강생이 많으면 월수입이 500만∼600만원에 달한다”면서 “이제 막 강사를 시작해 한 달 수입이 수십만원에 불과한 이들도 경력을 쌓기 위해 참고 다닌다”고 말했다.

인천시교육청은 방과후학교 강사들의 경력 조작 문제가 불거지자 지난해 12월 전체 학교를 대상으로 조사를 벌였지만 그 결과를 공개하지 않다가 언론의 취재가 시작되자 6명의 강사가 경력을 조작해 22개 학교에 근무한 사실을 밝혔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