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선 레이스의 첫 관문인 아이오와 주 코커스(당원대회)를 일주일 앞둔 25일(현지시간)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이메일 스캔들이 다시 쟁점으로 살아났다. 특히 미 국무부가 민감한 내용이 담긴 추가 메일 공개를 아이오와와 뉴햄프셔 경선 이후로 미루려 하자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노골적인 힐러리 클린턴 선거운동 돕기”라는 비난이 일고 있다. 만약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두 경선에서 이길 경우 이메일 스캔들은 ‘그냥 지나가는’ 이벤트로 그칠 가능성이 농후하다.
최근 클린턴 전 장관의 국무장관 재직시절 개인서버에서 극비를 넘어서는 수준의 정보가 발견돼 기소 가능성이 거론된 데 이어 아직 공개되지 않은 이메일들의 마지막 공개시점 연장을 놓고 첨예한 힘겨루기가 시작됐다.
국무부는 이메일 스캔들이 다시 쟁점화하는 최근의 양상에 부담을 느낀 듯 지난주 마지막 이메일 5만5000페이지의 공개 시점을 오는 2월 29일로 한달간 늦춰줄 것을 연방법원에 돌연 요청했다.
국무부는 “내부 검토과정에서 7200 페이지의 이메일을 간과한데다, 기록적 눈폭풍 때문에 1월 29일까지 이메일 검토를 물리적으로 끝내기 힘들게 됐다”며 마감 연장을 요구했다.
2월 29일이면 같은 달 1일 아이오와 주 코커스를 필두로 시작되는 레이스의 첫 4개주 경선을 마친 시점이다.
그러자 공화당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클린턴 전 장관의 경선을 도와주려는 뻔뻔한 전략”이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또 정보공개법에 따라 지난해 1월 클린턴 전 장관의 개인 이메일 공개를 요구했던 국제뉴스 전문매체인 ‘바이스 뉴스'의 제이슨 레오폴드 기자는 이날 이메일 공개 시점을 늦춰서는 안 된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경선 코앞인데 힐러리 '이메일 스캔들' 또 쟁점화
입력 2016-01-26 08:17